사선 넘은 ‘카불 철조망 아기’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사선 넘은 ‘카불 철조망 아기’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10-03 20:38
업데이트 2021-10-04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족 무사히 탈출해 美 피닉스에 정착
아빠 “죽기보다 다치는 게 낫다며 간청”
생후 8주 된 리야… 의료비 등 모금 중
“아이 이름에 도와줬던 ‘해병’ 넣을 것”
이미지 확대
지난 8월 19일 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에서 미 해군이 날카로운 철조망 위로 건져 올린 아기가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가족과 함께 무사히 정착했다고 폭스뉴스 등이 지난 2일(현지시간) 전했다. 당시 생후 17일 된 리야를 건져 올리는 9초간의 영상은 탈출이 절박한 카불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며 많은 이의 안타까움을 샀다.

아버지 하미드는 언론 인터뷰에서 “당시 담 위의 해병에게 리야를 구해 달라고 했더니 해병이 ‘철조망 위로 들어 올리면 아기가 다칠 것’이라고 말했다”며 “나는 (아이에게) 기회를 주겠다고, 죽는 것보다 다치는 것이 낫다고 말하며 다시 간청했다”고 회고했다.

4년간 미군의 통역 등으로 일한 그는 탈레반의 점령 이후 주변 사람들이 죽거나 실종됐다는 것을 알게 된 즉시 신분증, 현금, 소지품 몇 개만 챙겨 피란길에 나섰다고 했다. 하지만 카불 공항 인근에서 탈레반이 몰려드는 사람들을 구타하며 막았고, 하미드는 아기만이라도 대피시켜야겠다는 생각으로 미군에게 넘겼다고 설명했다. 미군을 돕느라 리야의 출산도 지켜보지 못했던 그는 당시가 처음으로 리야를 안았을 때라고도 했다.

미군이 아기를 받아 먼저 대피시킨 뒤 부부 역시 미군의 도움으로 몇 시간 뒤 공항에 들어갈 수 있었고 가족은 피닉스로 오게 됐다. 리야는 이제 생후 8주 차가 됐고, 아직은 의료비 등 도움이 필요한 상태다.

하미드는 모금사이트인 고펀드미를 통해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이날까지 5만 8800달러(약 7000만원)가 모였다. 그는 CBS방송에 “아기의 풀네임을 아직 짓지 못했는데 가운데 이름은 마린(Marine·해병)으로 짓겠다”고 말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1-10-04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