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 “부채한도·의사당 폭동
좌우파로 갈리고 중도 무너져”
2011년 하향 때 한 차례 학습효과
“美국채 최고 안전 자산” 인식
뉴욕 증시 소폭 하락으로 마감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2일(현지시간)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전격 하향 조정한 배경 중 하나로 2021년 1월 발생한 미 의회 난입 사태를 지목했다.
전날 피치는 “민주·공화당 간 (2011년부터) 반복돼 온 연방정부 부채한도 증액 논란이 경제적 불확실성을 낳는다”고 지적했는데, 여기에 민주주의 위기를 여실히 드러냈던 의사당 폭동까지 추가로 지적한 것이다. 1·6 의사당 폭동은 2021년 1월 6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지지자들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승리에 불복해 선거 결과 인증 회의가 열린 연방의회 의사당에 난입해 폭동을 일으킨 사건이다.
피치의 리처드 프랜시스 수석이사는 이날 로이터통신에 이같이 전하면서 “민주당은 더 좌파적, 공화당은 더 우파적으로 갔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중도가 무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번 결정은 일정 부분 미 거버넌스의 악화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결정에 앞서 피치는 미 재무부와의 면담에서도 정치 갈등이 국가경제 신뢰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글로벌 증시에 미친 파장은 12년 전인 2011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낮췄을 때와는 달리 상당히 제한적인 모습이다. 이미 한 차례 학습 효과가 있는 데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국채가 가장 안전한 자산이라는 인식을 투자자들이 공유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2일 미 증시는 전체적으로 소폭 하락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1.38% 떨어진 4513.39, 나스닥은 2.17% 하락한 1만 3973.45로 마감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0.05% 오른 4.08%로 거래됐다. 2011년 8월 8일 ‘검은 월요일’ 당시 S&P500 지수가 6.66%,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5.55% 폭락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때도 미 행정부와 의회 간 부채한도 협상 이후 재정건전성 전망이 어두워졌다는 점이 하향 조정의 원인이 됐다. 당시 미 신용등급의 첫 강등을 주도했던 S&P 국가신용평가위원회의 데이비드 비어스 전 총괄 담당은 이날 블룸버그TV에 “피치의 조치는 S&P가 2011년 결정한 것을 2023년에 재확인한 것에 불과하다”면서 “(최고등급인)‘AAA’는 당연한 권리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2023-08-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