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킨스와 네 자녀. 세상을 떠나기 전 아빠의 얼굴을 마지막으로 보고 싶다는 자녀들의 간절함에는 막대한 대가가 따랐지만 온라인 모금으로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고펀드미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고펀드미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애처로우면서도 아름다운 사연의 주인공은 마크 킨스(39)로 말기 암을 앓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그는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의 자택에서 투병하고 있지만 네 자녀는 시드니 할아버지 집에 머무르고 있다. 이 나라에서는 코로나19 때문에 주 경계를 넘는 일도 엄격히 금지돼 있고, 부득이하게 넘어갈 경우에는 2주 동안 호텔 등에서 격리 생활을 견뎌야 한다.
네 자녀가 아빠 얼굴을 마지막으로 보겠다며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하자 퀸즐랜드주 정부는 처음에 한 자녀만 가능하다고 했다가 가족들이 재차 애원하자 네 자녀 모두 방문하도록 허용했다. 단 2주 동안 호텔 격리 비용을 모두 자비로 부담하는 데 동의하라고 전제를 달았다. 또 아빠와 만날 때 개인보호장구(PPE)를 모두 갖추고서만 가능하다고 했다.
아이들의 할아버지 브루스 랭번은 현지 7뉴스 인터뷰를 통해 “아내는 거절했다. 손주들이 아들을 찾아가는 데 그렇게 많은 돈을 써버리면 장례 비용은 어디에서 구해야 하나 막막했던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딱한 사연이 알려져 온라인 모금 운동이 시작됐다. 고펀드미에서 3만 호주달러를 목표로 시작됐는데 벌써 일곱 배 가까이 모금됐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도 1000 호주달러를 기탁했다.
물론 댓글 창에는 킨스 가족을 응원하는 글과 퀸즐랜드주 정부가 너무 가혹하다고 비난하는 글들로 도배됐다. 글 하나는 “마크의 자녀들이 죽어가는 아빠 얼굴을 보지 못했다는 이유로 남은 인생 내내 고통스럽게 지내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난 퀸즐랜드주 정부와 달리, 아픔에 공감할 줄 아는 사람이니까 기부했다”고 했다. 주 정부의 행동이 “수치스럽다”고도 했다.
물론 주 정부는 성명을 내 해명했다. “우리는 글로벌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와중에 있어 우리 공동체, 특히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어떤 곳에서는 건강 지침이 매우 엄격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하지만 그것들은 퀸즐랜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됐다.”
그런데 이 사례에 국한하면 주 정부가 격리 비용을 부담할 수 있을 만큼 유연하거나 인간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란 점에서 주 정부의 해명은 정곡을 한참 벗어나 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