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롯데마트 영업정지 연장…CJ E&M 中법인 인력 축소

中롯데마트 영업정지 연장…CJ E&M 中법인 인력 축소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4-02 22:08
업데이트 2017-04-02 2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드보복 강화에 한국기업 시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빌미로 한 중국의 보복이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

2일 중국 롯데마트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지난달 초부터 취하기 시작한 영업정지 1개월 처분 기한이 속속 만료되고 있지만, 중국은 영업정지를 풀기는커녕 오히려 연장하고 있다.

가장 빨리 영업정지를 당했던 저장성 자싱점은 지난달 31일로 영업정지 1개월을 맞았지만, 아직 영업 재개 승인을 받지 못했다. 특히 이달 1일로 영업정지 기간이 만료된 단둥시 완다점은 오히려 중국 당국으로부터 “27일까지 영업을 추가 정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중앙의 명령 없이 지역 소방당국이 영업정지 해제를 결정할 수는 없다”면서 “소방 재점검을 미루거나 재점검을 나와 추가 조치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제재를 연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 내 롯데마트 99개 가운데 88%인 87개가 문을 닫았다. 롯데마트 측은 두 달간 문을 닫게 되면 손실이 최소 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중국의 금한령(禁韓令·한류 금지령) 여파로 CJ E&M의 중국법인이 인력을 대폭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J E&M은 중국에서 한국 방송프로그램 판권 판매, 드라마·예능·영화 제작 등을 가장 활발하게 벌여왔다. 중국에서 한류가 완전히 차단됨에 따라 CJ E&M은 중국법인장 등 일부 인력을 국내로 소환했다. CJ E&M 본사 측은 “해외 사업부문이 사업 목표와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이뤄지는 인력 재조정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으나 80명의 직원 가운데 20여명만 남아 영화 사업 등을 관리하고 있다는 게 현지의 관측이다.

현대자동차의 중국 내 네 번째 생산기지인 허베이성 창저우 공장도 지난달 말부터 1주일간 라인을 멈췄다. 현대차는 라인 점검 때문에 가동을 중단했다고 설명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가동하기 시작한 라인이어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현대차의 수많은 협력업체들도 재고 증가와 매출 감소 때문에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4-03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