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당국, 통화전쟁에 달러 쏟아붓지 않은 듯
![홍콩의 한 시민이 달러와 위안화 환전상 앞을 지나가고 있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81448_O2.jpg)
서울신문 DB
![홍콩의 한 시민이 달러와 위안화 환전상 앞을 지나가고 있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81448.jpg)
홍콩의 한 시민이 달러와 위안화 환전상 앞을 지나가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7일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중국 외환보유액은 3조 1072억 달러(약 3710조원)로 전달 3조 1037억 달러보다 35억 달러 늘었다. 시장 전문가들은 지난달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40억 달러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과는 반대로 나왔다.
왕춘잉 중국 외환관리국 대변인은 “외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중국 경제는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경제 구조가 개선되면서 안정적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의 국제수지 및 외화 보유액 증가세가 확고하다면서 “중국의 탄탄한 기반과 지속적 개혁개방 지원 덕분에 외환시장이 요동쳐도 장기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달 미국이 3000억 달러(약 358조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히자 위안화 가치는 급락했다. 지난달에만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3.8% 떨어졌다. 이는 중국이 1994년 새 환율 시스템을 도입한 뒤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특히 지난달 5일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시장의 심리적 저지선인 달러당 7위안 선을 돌파했다. 그러자 미국은 중국이 환율 하락을 의도적으로 용인하고 있다면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