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고사작전’에 나선 가운데 화웨이의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대체할 장비 개발에 착수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베이징 화웨이 로고 광고판 앞을 한 남성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지나가고 있다. 베이징 AP 연합뉴스
SCMP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2일(현지시간) 개방형 5G 네트워크 표준인 ‘O-RAN’을 도입해 가상 및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를 개발 중이다. O-RAN은 무선으로 장비 간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술로 화웨이 장비를 대체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특히 일본 유통 기업인 라쿠텐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O-RAN 기반 5G 가상 네트워크를 9월에 출시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새로운 5G 개발 모멘텀이 추가됐다. 라쿠텐의 5G 네트워크 장비는 일본 업체 NEC이 공급하며 에어스팬(Airspan), 퀄컴, 인텔 등 미 기업들이 소프트웨어를 담당한다.
미 연방통신위원회는 당초 3월로 예정됐던 O-RAN 개발 관련 포럼을 다음 달 개최할 예정이며, 이 포럼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라쿠텐, 인텔, VM웨어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SCMP는 “O-RAN 기반 5G 기술은 화웨이뿐 아니라 하드웨어 기반 5G 업체인 에릭슨, 노키아, 삼성, ZTE 등의 대체 기술로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