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이 캣워크 도중 들어 보인 양손의 손바닥에 잉크로 이렇게 적혀 있었다. 세계적인 모델 아예샤 탄존스가 22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 패션위크에 진행된 구치 쇼 도중 침묵시위를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자신 뿐만아니라 많은 모델이 입고 캣워크를 벌인 점프수트(낙하복 같은 내리닫이 캐주얼웨어) 디자인이 예전에 정신질환자를 결박할 때 입혔던 구속복(狗束服) 같다며 반발한 것이다.
탄존스는 남성도 여성도 아닌, 비(非)특정 성(性) 모델이다.
그(녀)는 인스타그램에 올린 글을 통해 “구속복이란 정신 질환이란 것을 이해하지 못해 약물로 처방하거나 (정신병원 같은) 기관에서 유린되고 고문 받아 인권이나 자유를 빼앗던 잔인한 시대의 상징“이라고 개탄했다. 이어 “구속복 이미지를 이용해 (모델들을) 공장육처럼 컨베이어 벨트에서 말려 나오는 정신 질환자로 보이게 만든 구찌의 나쁜 취향”이라고 질타했다.
탄존스는 다음날에도 인스타그램에 올린 글을 통해 쇼에 출연한 다른 모델들과 더불어 구찌로부터 받은 출연료 일부를 정신 건강과 관련된 자선단체에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자신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모델들도 비슷한 불쾌한 감정을 가졌다며 그렇지 않았다면 자신이 혼자 평화롭게 시위를 벌일 엄두도 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찌의 해명은 조금 이채롭다. 죄수복 같은 디자인이 패션을 통해 “어떻게 권력이 삶을 단련시키는지, 자기 표현을 제거하는지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흰색 단조로운 디자인은 2020년 춘하계를 겨냥한 패션위크 출품작들이 대체로 컬러풀한 데 대해 해독제 역할을 했다면서 이번 의상들은 “패션쇼를 위한 성명이었지 판매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구찌는 다양성 책임자로 르네 티라도를 임명했는데 올해 들어 벌써 두 차례 패션쇼가 논란을 일으킨 데 따른 것이었다. 지난 2월 검정 얼굴에다 입술을 과장되게 칠한 광대 얼굴을 닮은 듯한 점퍼를 출시해 890달러에 판매했다가 논란이 되자 회수했다. 지난 5월에도 시크 교도들이 쓰는 터번과 같은 790달러 짜리 헤드폰 세트를 판매했다가 호된 비난에 시달렸다. 미국 시크 연맹은 터번이 “단순한 패션 액세서리가 아니라 신심 깊음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