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새달 3일까지 ‘전국 봉쇄’ 초강수… “경찰 허가해야 외출”

伊 새달 3일까지 ‘전국 봉쇄’ 초강수… “경찰 허가해야 외출”

이경주 기자
이경주,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3-10 20:58
업데이트 2020-03-11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확진자 1만명 육박… 사망자 463명

이미지 확대
伊 교도소 폭동
伊 교도소 폭동 코로나19 확산세에 전국 봉쇄에 들어간 이탈리아에서 가족 면회를 금지한 정부 결정에 반발해 전국 교도소 곳곳에서 동시다발 폭동이 벌어졌다. 9일(현지시간) 로마 외곽 레비비아 교도소 밖에서 면회 취소에 불만을 품은 수감자 가족들이 앞을 가로막은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로마 AP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명에 육박하자 이탈리아 정부가 처음으로 ‘전국 봉쇄’라는 초강수를 뒀다. 첫 발생지인 중국 허베이성보다 1.6배 큰 국토 전체(약 30만 ㎢)를 ‘레드존’(봉쇄지역)으로 지정했다. 상대적으로 부유한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의료 시스템이 열악한 남부까지 확산될 경우 노약자의 피해가 더욱 커지는 데다 유럽 전역의 확산세까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보건 당국에 따르면 주세페 콘테 이탈리아 총리는 9일 저녁(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10일부터 북부 14개 지역의 레드존 조치를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대한다”며 “시간이 없다. 얼마나 힘든지 알지만 현재의 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발효 기간은 다음달 3일까지다.

이탈리아의 확진환자 증가세는 9일(1797명) 최고치를 경신했고, 누적 확진자는 9172명(오후 6시 현재)까지 늘었다. 누적 사망자는 463명으로 중국(3123명) 외 가장 많다. 치사율도 5.04%로 세계 평균(3.4%)보다 크게 높다. 일본을 제외하고 고령자 비율(23%)이 가장 높은 데다 의료 시스템이 환자를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집중 발병지인 북부 롬바르디아주의 급성환자용 병실은 이미 80%가 차 223개만 남았고 의사도 크게 부족하다”며 “캄파니아, 칼라브리아 등 남부 지역의 경우 의료 수준이 더 낮다”고 우려했다.

봉쇄령 첫날인 10일 이탈리아 국민 6000만명은 업무·건강·거주지 귀환 등의 이유가 아니면 이동할 수 없게 됐다. 문화·공공시설은 모두 폐쇄됐고 휴교령도 다음달 3일까지 연장됐다. 세리에A도 2차대전 이후 처음으로 중단됐다. 현지 거주 유학생은 “갑작스런 봉쇄로 장도 못 봤는데 답답하다. 곳곳을 지키는 경찰의 직권으로 외출이 허가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현지 언론들은 조간신문 코리에레델라세라가 콘테 총리의 담화문 발표 전에 보도해 많은 시민들이 9일 내내 기차역 등으로 몰려들어 홍역을 치렀다고 보도했다. 이들이 전국 봉쇄 효과를 반감시켰을 수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당국의 면회 금지 방침 등으로 발생한 교도소 폭동 사태는 이틀째 이어졌고, 남부 포자 교도소에서 문을 부수고 50여명이 탈옥해 30여명만 다시 붙잡히는 사태도 발생했다.

유럽 확산세도 커져 독일에서 확진환자가 1000명을 넘었고 첫 사망자(89)가 나왔다. 벨기에 브뤼셀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서도 직원 중 첫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한국 정부는 현재 중국 및 일본발 입국자에게만 적용하는 특별입국절차를 이탈리아까지 확대할지를 검토하고 있다. 다만 이탈리아발 입국자가 많지 않고, 이탈리아가 EU와 단일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어 이탈리아만 적용하는 데 대한 실효성을 따져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외교부는 이탈리아 내 교민 철수를 위해 임시 항공편이나 전세기 투입 등을 검토하는 단계는 아니라고 했다. 이탈리아 전국이 봉쇄됐지만, 교통편이나 항공편까지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20-03-11 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