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에 남겠다”… 뉴칼레도니아 독립 또 무산

“프랑스에 남겠다”… 뉴칼레도니아 독립 또 무산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10-05 17:54
업데이트 2020-10-06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년 만에 주민투표… “독립 반대” 53.3%
마크롱 “선택에 감사… 새 미래 만들 것”

남태평양의 프랑스령 섬인 뉴칼레도니아의 독립이 이번에도 무산됐다.

CNN 등에 따르면 4일(현지시간) 치러진 주민투표에서 독립 반대표가 53.3%로 찬성 46.7%를 누르며 뉴칼레도니아는 프랑스 영토로 남게 됐다. 앞서 2018년에 이어 2년 만에 치러진 투표에서 유권자들은 이번에도 독립 대신 프랑스령을 선택했다. 다만 지난번 투표 당시에는 찬성 56.4%, 반대 43.6%였는데 격차가 다소 좁혀졌다. 현지인들의 높은 관심으로 코로나19 속 치러진 선거에서도 투표율은 85.6%로 높았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휴양지인 뉴칼레도니아는 나폴레옹 3세 때인 1853년 프랑스의 통치 아래 들어간 뒤 1946년 프랑스의 해외 영토로 편입됐다. 프랑스의 태평양 군사기지가 있는 전략적 요충지일 뿐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등에 쓰이는 니켈 매장량이 전 세계의 10%에 이른다.

뉴칼레도니아 독립 움직임은 1980년대 중반 원주민인 카나크족 사이에서 싹텄다. 1988년 독립 투쟁이 유혈 인질극으로 비화하자 프랑스 정부는 자치권을 인정했다. 이어 1998년 누메아 협정을 통해 국방·외교·통화·사법을 제외한 거의 전 분야로 자치권이 확대됐다. 27만명의 주민 중 카나크족이 39%를 차지하지만, 인구 절반을 넘는 프랑스계 이주민, 아태 지역 섬 출신들은 본국과의 관계 단절을 우려해 독립 투표 부결로 이어졌다. 그러나 2022년까지 지방의회 3분의1 이상이 요구할 경우 한 차례 더 독립 찬반 투표를 할 수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립투표 부결 소식에 “프랑스에 남기로 선택한 주민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함께 뉴칼레도니아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 것”이라고 환영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20-10-06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