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경제난에 밀려오는 난민… 겹겹이 빗장 거는 유럽

식량·경제난에 밀려오는 난민… 겹겹이 빗장 거는 유럽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2-08-30 02:00
수정 2022-08-30 06: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법 입국자 전년 대비 86% 폭증
英·伊 총리 후보들 강경대응 예고

한 무리의 난민들이 영국 왕립인명구조협회(RNLI)의 도움으로 영국 켄트주 도버에 내리고 있다. 2022.8.25 AP 연합뉴스
한 무리의 난민들이 영국 왕립인명구조협회(RNLI)의 도움으로 영국 켄트주 도버에 내리고 있다. 2022.8.25 AP 연합뉴스
중동과 아프리카를 덮친 식량난과 경제난이 유럽의 또 다른 ‘난민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유럽으로 향한 불법 입국 건수가 전년 대비 80% 이상 폭증한 가운데 영국과 이탈리아에서는 차기 총리를 노리는 지도자들이 강경 대응을 시사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올해 들어 최근까지 프랑스 북부에서 영불해협(도버해협)을 건너 영국으로 들어온 이주자들이 2만 5146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영국과 유럽 대륙 간 최단 거리(30~40㎞)인 영불해협은 ‘브리티시 드림’을 꿈꾸는 중동 및 아프리카 난민들이 소형 구명보트 등에 의존해 위험한 항해를 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난민 신청자와 불법 이주자들이 급증하자 영국은 르완다와 협약을 맺고 이들을 르완다로 보내 난민 심사를 받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지난 6월 이주자들을 태운 비행기가 이륙하기 직전 유럽인권재판소(ECHR)의 개입으로 발이 묶였다. 차기 영국 총리는 이들에 대한 강경책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차기 총리 후보인 리시 수낵 전 재무장관은 “이주민들을 돌려보낼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리즈 트러스 외무장관은 르완다와의 협약을 다른 국가로도 확대할 것임을 시사했다.

2015년 ‘난민 위기’를 겪었던 유럽에는 올해 들어 다시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의 이주자 유입이 급증하고 있다. 유럽국경·해안경비청(프론텍스)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유럽연합(EU) 외부 국경에서 적발된 불법 입국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15만 5090건에 달한다. 우크라이나 난민은 수치에 포함되지 않았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들의 분쟁과 식량난,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불안으로 새로운 이민의 물결이 다가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중해의 ‘관문’인 이탈리아에는 리비아와 튀니지 등 북아프리카로부터의 불법 입국이 잇따르고 있다. 차기 총리가 유력한 극우 성향의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형제들(Fdi) 당수는 북아프리카에서 지중해로 이어지는 해상의 봉쇄를 주장하고 있다.

2022-08-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