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 입고 쿠르스크 찾은 푸틴… 美휴전 압박 속 ‘우위 선점’ 노려

군복 입고 쿠르스크 찾은 푸틴… 美휴전 압박 속 ‘우위 선점’ 노려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5-03-13 23:44
수정 2025-03-13 2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침공 이후 첫 전투단 지휘소 방문

“완전히 해방하라”… 영토 수복 지시
‘우크라 재정비 저지’ 여론 의식한 듯

점령지 러 주권 인정·평화군 거부 등
美 제안과 이견 드러나 협상 미지수
이미지 확대
12일(현지시간) 러시아 크렘린이 공개한 영상에서 군복을 입은 블라디미르 푸틴(가운데)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최전선인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주 군 사령부를 방문해 현장 장교와 악수하고 있다. 쿠르스크 AFP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러시아 크렘린이 공개한 영상에서 군복을 입은 블라디미르 푸틴(가운데)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최전선인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주 군 사령부를 방문해 현장 장교와 악수하고 있다.
쿠르스크 AFP 연합뉴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30일 휴전’에 합의한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가 점령한 쿠르스크 지역을 군복 차림으로 방문해 “완전한 해방”을 강조했다.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가 쿠르스크를 침공한 이후 푸틴 대통령이 이 지역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휴전은 우크라이나가 재정비할 시간만 벌어 주는 것”이라는 러시아 내 강경 여론에 힘을 싣는 동시에 미국과의 담판에서 우위에 서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12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쿠르스크 전투단의 지휘소를 방문해 “가능한 한 빨리 쿠르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을 격파하고 지역 안보 구역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날 푸틴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경제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갑자기 일정을 바꿨다.

우크라이나는 한때 쿠르스크 지역에서 서울시 면적의 두 배에 가까운 1100㎢의 땅을 점유했지만 현재 86%까지 도로 빼앗았다는 것이 러시아 측 주장이다. 푸틴 대통령의 현지 방문에서 ‘쿠르스크 수복 작전’에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북한군의 존재는 언급되지 않았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은 쿠르스크 지역에서 일부 후퇴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그는 “병사들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유리한 위치로 이동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대통령, 참모진이 모두 나서 러시아에 ‘30일 휴전’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미국 관리들이 우크라이나 휴전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러시아로 떠났다”고 말했다고 BBC방송이 13일 보도했다. 앞서 그는 “이제 (휴전은) 러시아에 달렸다. (휴전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나는 재정적으로 러시아에 매우 나쁜 조치를 취할 수 있다”이라고 경고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중동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가 이번 주 모스크바로 가서 휴전 승인을 촉구할 예정이라며 “평화가 10야드(약 9m) 남았다”고 말했다.

허훈 서울시의원, 은정초등학교로부터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감사패 받아

서울특별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이 지난 4월 18일, 서울은정초등학교(교장 채미정)로부터 교육시설 및 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 확보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받았다. 이번 감사패는 노후화된 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학교에 관심을 가지고 예산 확보를 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교직원과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들이 마련한 것이다. 허 의원은 등원 이후부터 주기적으로 관내 학교장 면담, 운영위원회 참석 등을 통해 학교·학부모들과 소통하며 교육 현안과 건의사항을 청취해 왔다. 특히 은정초의 경우, ▲체육관 안전 및 어린이 놀이시설 개선 2억 5000만 원 ▲교문시설 개선 2100만 원 ▲학생용 보관시설 개선 3400만 원 ▲급식실 안전시설 개선 1억 600만 원 ▲교육 지원시설 개선 4700만 원 ▲특별교실환경(보건실) 개선 4000만 원 ▲도서관환경 개선 3000만 원 등 2022년부터 은정초에만 총 16억 6300만 원의 교육예산을 확보하며, 학교 전반의 교육환경 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왔다. 서울은정초등학교는 1996년 개교 이후 올해로 29주년을 맞이한 학교로, 주요 시설이 전반적으로 노후화되어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학습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은정초등학교로부터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감사패 받아

러시아가 미국의 휴전안을 순순히 받아들이지는 미지수다. 최근 러시아 싱크탱크가 크렘린궁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트럼프 정부와 중국, 유럽연합(EU) 간 긴장을 조성해 미국의 협상력을 낮추는 데 힘써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2일 보도했다. 유럽 국가들이 제안한 평화유지군 파견 계획을 거부하고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러시아 주권을 인정하라는 입장도 담겨 있어 ‘30일 휴전’ 계획과는 거리가 있다.
2025-03-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