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중 기합인 척 욕설 내뱉던 중국 배드민턴 선수 금메달 놓쳐

경기 중 기합인 척 욕설 내뱉던 중국 배드민턴 선수 금메달 놓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8-03 06:35
업데이트 2021-08-03 0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 도중 기합을 가장해 욕설을 내뱉어 논란을 자초한 중국 배드민턴 선수 천칭천(왼쪽)이 2일 2020 도쿄올림픽 여자복식 결승전에서 그레이시아 폴리-아프리야니 라하유(인도네시아) 조에 0-2로 완패한 뒤 은메달을 목에 건 채 고개를 숙이며 침통해 하고 있다. 그와 조를 이룬 판자이는 눈물이 쏟아지는 듯 눈을 가리고 있다. 도쿄 AFP 연합뉴스
경기 도중 기합을 가장해 욕설을 내뱉어 논란을 자초한 중국 배드민턴 선수 천칭천(왼쪽)이 2일 2020 도쿄올림픽 여자복식 결승전에서 그레이시아 폴리-아프리야니 라하유(인도네시아) 조에 0-2로 완패한 뒤 은메달을 목에 건 채 고개를 숙이며 침통해 하고 있다. 그와 조를 이룬 판자이는 눈물이 쏟아지는 듯 눈을 가리고 있다.
도쿄 AFP 연합뉴스
경기 중 기합을 하는 척하며 사실은 욕설을 내뱉었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킨 중국 탁구 선수 천칭천이 2020 도쿄올림픽 여자복식 결승전에서 완패해 은메달에 머물렀다.

세계랭킹 3위 천칭천-자이판 조는 2일 일본 도쿄 무사시노노모리 스포츠플라자에서 이어진 금메달 결정전에서 6위 그레이시아 폴리-아프리야니 라하유(인도네시아)에 0-2(19-21 15-21)로 힘 한 번 써보지 못했다. 1세트는 1~2점 차 박빙 승부가 이어졌지만 2세트는 한때 9점 차까지 벌어지다 6점 차로 끝났다. 1세트 최다 랠리는 51회(스트로크 기준)이었지만, 2세트는 42번에 불과했다. 중국 조의 힘이 부쳤다는 의미다.

사실 천칭천-자이판 조는 준결승에서 한국의 김소영-공희용 조를 2-0으로 누르고 이날 금메달 결정전에 나섰다. 경기력은 한 수 위였지만 매너가 영 아니었다. 천칭천이 득점할 때마다 마치 기합처럼 내뱉는 “워차오”가 실은 입에 담기 힘든 욕설이었다. 영어로 얘기하면 ‘F워드’에 해당한다고 홍콩과 대만 누리꾼들이 알려줬다.

실은 지난달 27일 D조 예선에서 김소영-공희용 조와 맞붙었을 때부터 천칭천은 욕설을 내뱉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 지적이 있었지만 그 때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경기 도중 욕설을 하는 것에 대해 별다른 제재 조항을 두지 않고 있다. 힘에 부쳐, 경기가 제대로 안 풀려 화가 나 어쩌다 욕설이 튀어나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 아닌가 싶다. 하지만 기합을 가장해 욕설을 수시로 내뱉는 천칭천의 사례는 완전히 다른 차원이다.

천칭천은 개인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발음이 안 좋아서 오해하게 만들었다”고 둘러댔다. 그러자 일부 중국 누리꾼들은 그가 영어로 ‘조심해’라고 외치려 했는데 그렇게 중국어 욕설처럼 들린 것 같다고 편을 들었다.

좋지 않은 욕설로 논란을 자초하고 상당한 심적 부담을 안게 됐고, 그 결과는 완패였다.

한편 그레이시아 폴리와 아프리야니 라하유는 조국 인도네시아에 이번 대회 첫 금메달을 안겼다. 인도네시아 선수들이 이 종목 금메달을 목에 건 것도 사상 처음이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