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 소년, AI만 깨던 테트리스 ‘끝판’ 깨다

13세 소년, AI만 깨던 테트리스 ‘끝판’ 깨다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4-01-05 00:25
업데이트 2024-01-05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깁슨, 게임 시작 40분 만에 성공
“일주일에 20시간씩 게임에 투자”

이미지 확대
테트리스를 끝판까지 깨는 데 성공한 미국 열세 살 소년 윌리스 깁슨이 머리를 감싸 쥐며 환호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테트리스를 끝판까지 깨는 데 성공한 미국 열세 살 소년 윌리스 깁슨이 머리를 감싸 쥐며 환호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열세 살 미국 소년이 세계 최초로 블록 쌓기 게임인 ‘테트리스’를 끝판까지 깼다.

3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은 미 오클라호마주에 사는 윌리스 깁슨이 지금까지 인공지능(AI)만이 성공했던 일을 해냈다고 전했다.

깁슨은 지난달 21일 닌텐도 원조 버전 테트리스를 40분가량 이어 간 끝에 게임 화면이 멈춰 선 영상을 2일 유튜브에 올렸다.

영상을 보면 ‘레벨 18’에 ‘점수 999999’ 상태에서 블록이 내려오다가 게임 화면이 멈추자 깁슨이 숨을 가쁘게 몰아쉬고 머리를 감싸 쥐더니 “세상에”(Oh my god)를 외친다. 이후 넋이 나간 듯한 얼굴로 “손가락에 감각이 없다”고도 했다.

화면이 멈춘 건 코딩의 한계로 블록이 생성되지 않고 얼어붙는 ‘킬 스크린’(kill screen) 상태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게임이 더 높은 레벨을 인식하지 못해 레벨 29 이후에는 숫자가 뒤엉킨다. 깁슨은 128번을 더 성공시킨 뒤 157번째 판에서 게임을 정지시켰다.

테트리스는 1985년 옛 소련의 프로그래머 알렉세이 파지트노프가 개발했고, 게임사 닌텐도가 저작권을 확보해 1989년 출시했다. 지금까지 킬 스크린을 만든 건 ‘스택 래빗’ 같은 테트리스 AI뿐이었다.

깁슨은 유튜브에서 처음 테트리스를 접하고 단순함에 끌려 2021년부터 일주일에 20시간씩 게임을 하고 있다. 고등학교 수학교사인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테트리스 말고 집안일을 돕는 등 다른 일도 하기 때문에 “게임에 빠져도 괜찮다”고 했다.

깁슨의 목표는 지난해 3위에 그쳤던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는 것이다.
윤창수 전문기자
2024-01-05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