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개봉 ‘퀴즈왕’ 장진 감독… 웃자고 만든 영화 추석황금기에 걸린 사연

16일 개봉 ‘퀴즈왕’ 장진 감독… 웃자고 만든 영화 추석황금기에 걸린 사연

입력 2010-09-14 00:00
수정 2010-09-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입지가 워낙 탄탄한 감독이니 굳이 소개할 필요는 없을 듯싶다. 기발한 웃음 코드를 발견해내는 능력, 탁월한 재치로 ‘장진표 코미디 영화’라는 색다른 장르(?)를 만들어낸 한국 코미디 영화계의 대표주자, 바로 장진(39) 감독이다. 이번엔 추석 연휴용 영화 ‘퀴즈왕’을 들고 나타났다. 물론 코미디다. 방송 이래 단 한 번도 우승자가 나오지 않은 133억원 상금의 퀴즈쇼. 우연히 마지막 정답만 알게 된 15명의 도전기를 담았다. 영화는 16일 개봉한다. 최근 그를 서울 충무로의 영화제작사 사무실에서 만났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굿모닝 프레지던트’ 이후 1년 만이다. 차기작이 참 빠른 편인데 만족하는가.

-주변에서 재밌다고 그런다. 좀 투박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나름대로 괜찮게 봐주시는 듯하다. 웃자고 만든 영화다.

→원래 개봉을 염두에 둔 작품이 아니라고 들었다.

-지난해 연말이었다. 10년 넘게 이 판에서 함께한 친구들이랑 술자리를 하다가, “한방은 없었지만 그래도 우리 참 오래 버텼다. 계속 메이저 한복판에서만 작업하다 보니 부담도 있다. 길지 않은 촬영이니 우리끼리 즐기는 작품 하나 만들자.” 이렇게 시작했다. 그래서 원래 개봉관은 4~5개만 하고 나중에 방송에 넘겨 수지 맞추면 될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추석 영화에 이름을 걸었다. 어쩌다 판이 이리 커졌나.

-그렇게 재미나게 만들면 그만이라 생각했는데 막상 주변에서 시나리오를 보고 권유하더라. 특히 강우석 감독님이 함께 하자고 그래서 배급까지 맡아 주셨고. 어쨌든 자유분방하게 영화를 만들 수 있어서 예상보다 잘 나왔다. 그런데 마케팅팀에서 영화 작게 보이면 안 된다고 이런 말 하지 말라고 했는데…. 하하.

→연기까지 했다. (장 감독이 맡은) 마 반장 역할은 꽤 비중있는 배역인데.

-중요한 배역이라 차승원, 정재영, 신하균 가운데 한 명이 해줬으면 했다. 당시 차승원은 ‘포화 속으로’를 촬영하고 있었는데 수염을 깎을 수 없다고 해서 어쩔 수 없었다. 블록버스터 만드는데 스케줄 빼달란 것도 미안했고. 정재영은 시나리오 보더니 유도부 역할에 완전 꽂혀서 마 반장 역할 쳐다보지도 않더라. 신하균도 ‘페스티벌’ 촬영 때문에 비중 있는 역할 하기가 좀 그래서 단역을 맡았다. 그러니 어쩌나. 내가 해야지. 연기는 괜찮았나 모르겠다.

→그냥…. 감독일 때가 가장 멋있는 것 같은데?(함께 웃음) 농담이다. 그런데 각본에 촬영까지 1인 4역 아닌가.

-1인 4역? 아니다. 제작에 편집, 여기에 영화에서 이수영이 부르는 노래 작사·작곡도 했다. 1인 6역이다.

→아니, 작곡까지?

-원래 음악하려고 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는. 솔직히 작곡이래봤자 우리 아들 돌 잔치 때 축하송 만드는 정도 실력이다. 그런데 굳이 작곡을 한 건 돈 때문이다. 영화에서 술 먹고 두 마디만 흥얼거리면 될 것을 저작권료 내야 하니…. 아끼려면 별 수 있나. 변변치 않은 실력이라도 내세워야지.

→정재영, 신하균, 류승룡, 장영남, 류덕환, 임원희 등 ‘장진 사단’이 대거 나왔다. 여기에 김수로와 한재석까지. 두 사람도 장진 사단으로 합류하게 되는 건가.

-김수로는 10년 넘게 짝사랑만 했다. 내가 그랬다. 나랑 작품 하나 하는 건 의미 없으니 앞으로 서너 작품 하자고. 한재석은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동생인데 알다시피 좀 슬럼프가 있었다. 여리고 순한 녀석인데 이번 기회에 초심으로 돌아가 잘 됐으면 좋겠다.

→장 감독은 이 영화의 가장 큰 매력이 ‘구조’에 있다고 했다. 무슨 뜻인가.

-‘퀴즈왕’이 올바른 영화제작 구조를 갖췄다는 얘기다. 퀴즈왕을 통해 오랫동안 꿈꿔왔던 숙원을 풀었다. 바로 계약서에 ‘주주 지분제’를 표시한 거다. 지금까지는 ‘2000만원 개런티를 받아야 하는 배우에게 저예산 영화니 1000만원만 주겠다.’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대응해 왔다. 이번에는 달랐다. ‘돈이 없으니 일단 출연료만 주고, 나머지는 지분으로 드리겠다.’ 했다. 결과적으로 스태프들에게도 웬만한 상업영화의 개런티를 준 셈이다. 모두가 주주가 되는 거다. 시장이 어렵다고 그 가치를 깎고 싶지 않았다.

→요즘 스태프 처우개선 문제가 심각한데 해법이 될 수 있을 듯싶다.

-처우개선이란 말도 잘못됐다. 그렇게 복지 개념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이들은 합당한 대가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이다. 그렇지 못한 게 문제였다. 그렇게 수혜적인 뉘앙스를 풍기는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머쓱해하며) 맞는 말 같다. 화제를 바꾸자. 영화 내용에 대통령 풍자 등 정치적 요소가 들어있던데, 안 무서웠나.

-(웃음) 그렇게 정치적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대통령에게 애교스러운 농을 건넨 거다. 대통령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내게 고맙다고 할 필요도, 대통령을 추종하는 사람들이 나를 욕할 필요도 없다.

→끝으로 요즘 젊은 감독들에게 한마디 해달라.

-나는 지금까지 내게 씌워져 있는 과대포장을 돌파하느라 부단히 애를 썼다. 영화 한 편 괜찮다 싶으면 마치 영화를 평정할 것 같은 감독으로 앞다퉈 띄워주는 게 언론의 속성이니까. 나 역시 그랬고. 요즘 보면 영화 한두 편 만들고 갑자기 떠버린 젊은 감독들이 참 많은 것 같다. 혹시라도 시간이 흐른 뒤 그들이 다치지 않았으면 좋겠다. 마음 단단히 먹으라는 말을 꼭 해주고 싶다.

글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사진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2010-09-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