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법당 지키려면 사찰 식습관 베끼세요”

“몸 법당 지키려면 사찰 식습관 베끼세요”

입력 2011-05-25 00:00
업데이트 2011-05-25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재스님 이야기로 펴낸 사찰음식’

이미지 확대
불교 신자들은 ‘몸 법당’이란 말을 자주 쓴다. 몸은 부처님 법을 담은 그릇이며 몸을 통해 법을 설하고 실천하니 몸을 잘 간수하라는 뜻이 담긴 말이다. 그런데 ‘음식 포교사’로 불리며 사찰음식을 개발해 대중들에게 전파하고 있는 사찰음식 대가, 선재 스님(위)도 일찍이 그 ‘몸 법당’관리엔 소홀했다고 한다. 17년 전 받은 간경화 선고. 1년밖에 살지 못한다는 의사의 판정과는 달리 지금도 그는 1주일에 6일씩 강연을 하며 활달하게 살고있다.

아버지와 두 오빠를 간경화로 잃고 자신 또한 40세의 나이에 같은 병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았을 때, 스님은 생을 포기하려 했다고 한다. 그때 눈을 돌린 게 바로 자신의 중앙승가대 졸업논문 ‘사찰음식문화 연구’다. 사찰음식 관련 논문으론 국내 처음이었던 이 논문을 펴놓고 사찰음식으로 식단과 식습관을 바꾸면서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1년 만에 병세가 호전된 건 물론 지금까지 악화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선재 스님이 최근 펴낸 ‘선재스님의 이야기로 버무린 사찰음식’(아래·불광출판사 펴냄)은 스님 말대로 “시한부 선고 이후 덤 인생을 살면서 대중들에게 반드시 알려야 할” 식(食)의 체험 법이다. ‘모든 법은 음식으로 말미암아 존재하고 음식이 아니면 존재하지 않는다.’(증일아함경)라고 설파했던 부처님 말씀 그대로 음식의 조리며 준비, 섭생 모두 여법(如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 ‘여법’이란 모든 음식재료를 불성(佛性)을 가진 존재로 보는 데서 출발한다. 음식이 자연과 우주의 생명이란 생각을 갖는다면 모든 사람을 부처로 섬기는 음식, 몸과 마음을 살리고 깨달음을 돕는 음식을 만들게 될 터. 스님은 “자연이 준 식재료에 감사하고 특성을 살려 요리하고, 내게 온 인연에 감사하며 먹을 때 음식은 가장 좋은 약이 된다.”고 말한다.

‘음식은 단순히 생명을 살리는 영양 덩어리가 아니라 사랑이요, 행복’이라는 스님의 정신은 책 곳곳에 스며있다. 3000년의 지혜가 담긴 사찰음식의 단순한 조리법에 머물지 않고 경전 말씀을 바탕으로 한 음식 철학, 사찰음식에 깃든 정신의 악센트가 역력하다. 그래서 재료를 씻고 다듬는 법이며 그릇에 담고 상에 놓는 원리, 올바로 먹는 순서를 꼼꼼하게 설명한다.

“지병으로 늘 피곤하지만 사찰음식을 강의할 때면 몸이 날아갈 것같이 가볍다.”는 스님. 그는 이렇게 말한다. “병은 30%는 유전, 30%는 외부환경, 40%는 음식에서 온다고 합니다. 유전자를 바꿀 수 없고, 외부환경 역시 제 힘으로 바꿀 수 없으니 결국 바꿀 수 있는 건 음식뿐입니다.” 1만7000원.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5-25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