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쁘게 다듬어야 디자인이다?

예쁘게 다듬어야 디자인이다?

입력 2011-07-16 00:00
수정 2011-07-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4개국 참여 광주 디자인비엔날레 도시적 생태계 등 주제로 9월 개막

‘도가도비상도’(圖可圖非常圖). 척 보면 알 수 있듯, 노자 도덕경 패러디다. 디자인이 디자인이라고 하는 순간 디자인이 아니다, 라는 얘기다. 9월 2일 개막하는 제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던지는 화두다.

이미지 확대
승효상씨 연합뉴스
승효상씨
연합뉴스


반듯한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는 도(圖)라는 글자 자체가 인위적이다. 고지도를 보면 서울의 사대문 안 공간을 도(圖)자에 걸맞게 반듯한 사각형으로 그려 뒀다.

실제로는 역삼각형에 가깝지만, 반듯한 사각형이 왕성의 위엄이라 생각한 것이다. 그렇기에 디자인비엔날레 주제는 억지로 예쁘게 가다듬는 게 디자인이 아니라는 말로 들린다.

건축가인 승효상(59) 전시 총감독은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다가 잃어버린 많은 것들이 있다.”면서 “새로운 디자인은 단지 보기 좋은 형태를 만드는 게 아니라 우리네 삶과 연관된 공동체와 도시적 생태계를 한꺼번에 품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승 감독이 건축가라는 점과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광주폴리’(Folly) 전시가 한 예다. 폴리는 프랑스 정원에서 유래한 말로 조경디자인을 뜻하는 용어. 디자인이 톡톡 튀는 게 아니라 도시 풍경 속에 스며들도록 해보겠다는 얘기다.

1910년에 허물어져 사라진 광주의 옛 읍성을 찾아보니 오각형 모양이었다고 한다. 각 꼭짓점과 변의 중심점 10곳에 옛 읍성이 갖고 있는 역사성을 선보일 공간을 만들 작정이다. 승 감독은 “세계 어느 도시나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데 이런 작업을 통해 도심 재생에 도전해 보고자 하는 뜻도 있다.”고 강조했다.

전시 범주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식으로 나눴다. 신문 섹션을 따른 방식인데, 아침에 늘 집어 보는 일상의 느낌을 주고자 한 것이다. 한마디로 전시관에 가두어둔 디자인, ‘아 예쁘네.’ 하고 그만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보자는 얘기다.

올해에는 44개국 129명의 작가가 132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얼마 전 보석으로 풀려난 중국 작가 아이웨이웨이의 작품 ‘필드’(Field)도 온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7-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