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 명예교수 ‘2013 체제’ 25일 심포지엄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1/22/SSI_20111122175456.jpg)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1/22/SSI_20111122175456.jpg)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그는 계간지 실천문학 여름호에 기고한 ‘2013 체제를 준비하자’라는 글을 통해 “이명박 정권에 지칠 대로 지쳤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만 아니면 그 누구라도 좋다, 야당만 집권하면 된다는 얘기는 작은 원에 불과하다.”면서 “조금 더 큰 원을 그리자.”고 제안했다.
1987년 체제가 형식적, 절차적 민주주의의 성취였다면, 내년 대통령 선거를 거쳐 새 정권이 들어서는 2013년 체제는 실질적 민주주의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남북평화체제, 복지국가, 공정·공평사회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오는 25일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세교연구소(이사장 최원식)와 한반도평화포럼(이사장 임동원·백낙청) 공동주최로 열리는 심포지엄 ‘2013년 체제를 향하여’는 이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다. 1부에서는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이 2013체제에 담길 외교·안보·통일 정책에 대해, 이일영 한신대 교수가 경제·사회분야에 대해 발표한다. 2부 토론에서는 백낙청 명예교수 주재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박영선 민주당 정책위 의장, 심상정 전 진보신당 대표, 윤여준 평화재단 평화교육원장이 2013 체제의 핵심 의제를 다룬다. 이 의제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연합에 대해서도 토론한다.
정현곤 세교연구소 상임운영위원은 “2013체제 자체에 대한 동의 여부를 떠나 앞으로 한국 사회는 어떻게 변모해야 하는지 큰 비전에 대한 합의점을 찾아나가는 게 심포지엄의 궁극적 목표”라고 말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1-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