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주로 담아낸 비판과 풍자

콜라주로 담아낸 비판과 풍자

입력 2012-10-06 00:00
수정 2012-10-06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학철·김기라 2人전 ‘두개의 문’

20일까지 서울 안국동 갤러리175에서 열리는 ‘두 개의 문’전은 이색적이다. 민중미술가로 이름을 드날린 신학철(68)과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신선한 작품을 선보이는 젊은 작가 김기라(38)가 함께 전시를 열고 있다. 한 세대에 이르는 연배 차이에서 보듯, 이 두 작가 간의 어떤 친분 관계 같은 것이 있는 건 아니다. 한데 묶게 된 것은 사진을 이용한 콜라주 기법이다.


신학철 작가는 가로 세로 몇 미터나 되는 대작 ‘한국현대사-갑순이과 갑돌이’ 시리즈로 유명하다. 언론에 공개된 보도사진에 드러난 그 시대의 현실을 촘촘히 오려붙여 시대를 압축적으로 제시해 왔다. 한국전쟁, 군부독재, 산업화 그리고 그 와중에 고통받는 민중의 삶을 드러내는 데 주력했다. 이번에 새로 내놓은 신작도 매한가지다. 하나는 ‘한국 근대사-관동대지진’이다. 일본과의 역사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작가는 우연히 관동대지진 관련 사진을 입수하면서 언젠가 하나의 작품으로 남겨야겠다 생각했단다. 또 하나는 ‘한국 현대사-망령’이다.

김기라 작가의 콜라주 작품은 사실적이라기보다 풍자적이다. 스펙터(망령), 몬스터(괴물)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그의 작품들은 세상의 온갖 신성한 형상들을 조합한 것이다. 그 좋다는 걸 다 그러모았는데, 글쎄 모아놓고 보니 그 모습이 기괴하기 이를 데 없다. 이번에 내놓은 작품도 이런 아이러니에 대한 풍자가 단연 돋보인다. 가령 ‘히틀마리아’는 척 보기엔 마리아 상인데 그 얼굴을 자세히 보면 히틀러이고, 그가 안은 아기는 예수가 아니라 오바마다. 또 ‘맑스의 초상’이라는 작품에서는 공산주의를 탄생시킨 마르크스에다가 만화 속 주인공이나 쓸 법한 녹색 가면을 씌워 놓았다.

두 작가 모두 역사적 사건이나 이데올로기, 굳건한 신념 등이 가지는 폭력성과 야만 같은 주제를 다루고 콜라주 기법을 응용한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다. 전시기획자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김기라는 팝아트적인 대중기호에 대해 개방적이고 더 세계화된 시선을 버리지 않는 반면, 신학철은 역사적 현실을 무겁게 조망해 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02)720-9285.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10-0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