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사진 오류 많아…1권당 9장꼴”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사진 오류 많아…1권당 9장꼴”

입력 2015-10-22 09:35
업데이트 2015-10-22 09: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준형 박사과정·양종훈 교수, 고교 검정 교과서 8종 분석”사진 조작·불분명한 캡션 등 문제점 다수 발견돼”

현재 고등학생 1∼2학년이 배우는 검정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단원에 수록된 사진을 분석해보니 1권당 평균 9.25장꼴로 오류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 배경을 지우고 특정 사물을 확대하는 등 사진을 인위적으로 바꾸거나 캡션(사진설명)을 불분명하게 달아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는 경우 등이 주로 발견됐다.

22일 학계에 따르면 상명대 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박준형 박사과정생과 양종훈 교수는 논문 ‘고교 한국사 교과서 자료 사진 오류에 관한 연구’에서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단원(1945년 광복 이후)에 수록된 사진을 분석했다.

2009년 개정판인 8종의 교과서는 1권당 평균 125장의 사진을 수록했다. 페이지당 평균 수록사진은 1.93장으로, 2007년 개정판의 1.63장보다 늘었다.



교과서 1권당 오류는 평균 9.25건이 발견됐다.

오류의 유형을 보면 사진 배경을 지우거나 원본을 임의대로 편집한 경우 또는 사진의 내용을 잘 설명하지 못하거나 틀린 캡션을 쓴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리베르스쿨은 4·19 혁명 당시 고등학생들의 시위 모습을 담은 사진에서 배경을 지우는 바람에 그때의 분위기나 주변 환경을 명확히 전달하지 못했다.



비상교육은 냉전체제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베를린 봉쇄 당시 사진에서 군수 물자를 나르는 비행기 사진을 원본보다 확대했다.

불분명하거나 아예 틀린 캡션을 단 경우도 여러 건 발견됐다.

지학사는 ‘9·28서울수복’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서울 수복 후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국군’이라는 제목의 사진을 실었는데, 사실 그때의 사진은 남아있지 않으며 해당 사진은 당시를 재현한 장면을 찍은 것이다.



교학사는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지금의 경기 성남) 주민 5만여 명이 정부의 무계획적인 도시정책에 반발해 일으킨 ‘광주 대단지 사건’을 설명하는 사진에서 다른 교과서와 달리 해당 지명이 ‘경기도 광주’ 혹은 ‘지금의 성남’임을 표기하지 않아 혼란의 여지를 남겼다.

미래엔은 상록수 부대가 1999∼2003년 동티모르에서 전개한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활동을 보여주는 사진에는 활동시기를 ‘1989∼2000년’으로 잘못 표기했다.

이외에도 두 개의 사진을 겹쳐서 배치하는 바람에 사진 간 구별이 잘 안 되거나 다른 출판물의 사진을 재인용하는 과정에서 화질이 떨어져 명확하게 알아보기 어려운 사진도 있었다.

논문은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은 학생들에게 현장감 있게 역사를 보여주는 도구이자 역사적 사건을 간접 체험하게 하는 증거가 되므로 이 사진을 조작·왜곡하는 것은 역사를 왜곡하는 것과 같다”며 “전문가와 함께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사진을 신중하게 선정해 싣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논문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월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