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탄할 만한 스와롭스키 크리스탈 박물관

경탄할 만한 스와롭스키 크리스탈 박물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11-12 13:27
업데이트 2015-11-12 1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쿠스 하스 스와롭스키 투어리즘부문 亞洲 담당자 방한

이미지 확대
 “한국인들은 광학기기, 혹은 크리스탈 등 보석을 만드는 회사로 알고 있지만 사실 스와롭스키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방대한 회사입니다. 투어리즘 유닛(관광부문)은 그 중 하나이고, 우리는 관광을 통한 한국과의 교류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스와롭스키의 관광 부문 아시아 담당자인 마쿠스 하스가 11일 밝힌 방한 이유다. 스와롭스키는 올해 창립 120주년을 맞은 오스트리아의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이다. 하지만 우리에겐 보석 등 액세서리나 망원경 등 광학정밀기기를 만드는 회사 정도로만 알려져 있다. 스와롭스키는 1995년 문을 연 크리스탈 벨텐(Kristallwelten, 영어식으로는 ‘크리스탈 월드’란 뜻)을 리모델링해 지난 5월 재개장했다. 하스 아시아 담당자가 한국을 방문한 건 이 크리스탈 박물관을 홍보하기 위해서다.

이미지 확대
마쿠스 하스 인터뷰-오스트리아 스와로브스키사 아시아권 투어리즘 세일 담당자. 2015. 11. 11.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마쿠스 하스 인터뷰-오스트리아 스와로브스키사 아시아권 투어리즘 세일 담당자. 2015. 11. 11.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물관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수는 뜻밖에 많다. 하스 담당자는 “한 해 약 1만명의 한국인이 크리스탈 박물관을 방문하는 등 오스트리아 내 세 곳의 스와롭스키 매장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이 4만여명에 달한다”고 했다. 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여행사 패키지 상품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는 “개별자유여행객이 점점 늘고 있는 만큼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크리스탈 발텐은 14개의 전시실과 키즈(kids) 빌딩, 크리스털로 만든 구름공원 등 가족형 리조트를 모티브로 조성됐다. 자이언트(거인)의 입으로 들어가 배(지하)를 탐험한다는 것이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다. 14개의 전시실마다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크리스털 예술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하스 담당자는 “박물관이 티롤주의 주도인 인스부르크 중심에서 불과 15㎞ 정도 떨어져 있다”며 “경탄할 만한 공간이 많은 만큼 좀 더 많은 한국인 관광객이 방문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