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1/15/SSI_20221115003558_O2.jpg)
![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1/15/SSI_20221115003558.jpg)
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일면식 없는 자신에게 반말하는 할머니 손님에게 똑같이 ‘반말 대응’을 했다는 사연이 알려져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1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반말하는 손님에게 복수하는 작고 사소한 나만의 방법”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람을 주로 대하는 일’로 정의했다.
A씨에 따르면, 할머니 손님은 A씨에게 “아가, 이거 얼마고? 후딱 계산해봐라”고 말했다. 이에 A씨는 할머니 손님에게 “3만원, 일시불로 해줄까?”라고 답했다.
A씨가 갑자기 반말해서였을까. A씨는 할머니 손님이 자신이 한 말을 듣고 주춤거렸다고 설명했다.
A씨는 “요새 반말하는 손님이 부쩍 늘은 거 같아 진짜 열 받는다”며 “반말하는 사람들 보면 대부분 50대 이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어떤 할머니가 반말을 하더라. 그래서 나도 반말하니깐 벙찐 표정 짓고 아무 말 못하더라”라고 덧붙였다.
![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1/15/SSI_20221115003625_O2.jpg)
![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1/15/SSI_20221115003625.jpg)
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은 MZ세대 알바생 1652명 중 56.7%가 ‘반말 손님’을 가장 싫어한다는 답을 했다고 밝혔다.
반말한 예시로는 “야 알바”, “이거 줘” 등이었다. 이어 “왜 여기만 안 되냐?”라며 매뉴얼을 무시하는 ‘막무가내형’이 48.3%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가장 감동받은 손님의 태도를 묻자 ‘내가 건넨 인사를 상냥하게 받아줄 때(47.4%)’가 1위를 차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