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 사는 이들이 자연의 시간에 맞춰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특히 단풍철에 그렇다. 조금 이르게 찾으면 덜 여물었고, 조금만 늦어도 우수수 나뭇잎을 떨궈놓기 일쑤다. 그래도 10월 말 11월 초만 겨냥하면 제모습과 마주할 수 있는 나무가 있다. 은행나무다. 특히 수령이 수백년을 헤아리는 노거수(老巨樹)들이 그렇다. 늦었다 싶을 때 찾으면 거의 예외없이 절정에 이른 풍모를 선사하곤 한다.
수도권에선 경기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와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를 꼽을 만하다. 용문사 은행나무의 수령은 11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키가 큰 은행나무로, 높이가 42m에 이른다. 나무 둘레는 14m다. 지난 196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예년의 경우에 비춰보면 대체로 10월 말에서 11월 3, 4일 경 절정에 이른다. 들머리에서 용문사까지 30분 가량 걸어야 만날 수 있다.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는 2021년 천연기념물에 지정됐다. 수령은 800년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28.2m, 둘레 9.1m로 수형이 대단히 웅장하다.
강원 원주 문막읍 반계리 은행나무는 아름다운 자태로 소문났다. 높이 32m, 둘레 16.27m에 이르며 가지가 사방으로 넓게 퍼져 웅장한 느낌을 준다. 지난 1964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당시 수령이 800세 정도였으니, 올해 850세를 넘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11월 초순 정도까지는 아름다운 자태를 이어간다. 그래도 나뭇가지와 주변 땅 모두가 노랗게 물든 풍경과 마주하려면 11월 첫 주 이전에 찾는 게 좋다.
경북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도 용문사 은행나무처럼 늘씬한 자태가 매력이다. 높이 37m, 둘레는 14m다. 수령은 7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지난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용계리 은행나무는 임하댐 호반도로 변에 있다. 드라이브 삼아 찾기 딱 좋다. 다만 물가에 있어선지 다른 노거수들에 견줘 다소 일찍 물드는 편이다. 11월 첫 주를 넘기지 말길 권한다.
천연기념물은 아니지만 경주 서면 도리마을 은행나무 숲, 강동면 왕신리의 운곡서원 은행나무도 인기다. 도리마을의 경우 강원 홍천의 은행나무 숲처럼 부러 식재한 은행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10월 말의 풍경이 아름답다. 운곡서원 은행나무는 유난히 늦게 물든다. 11월 첫 주를 넘어야 농익은 모습을 선보일 듯하다.
수도권에선 경기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와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를 꼽을 만하다. 용문사 은행나무의 수령은 11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키가 큰 은행나무로, 높이가 42m에 이른다. 나무 둘레는 14m다. 지난 196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예년의 경우에 비춰보면 대체로 10월 말에서 11월 3, 4일 경 절정에 이른다. 들머리에서 용문사까지 30분 가량 걸어야 만날 수 있다.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는 2021년 천연기념물에 지정됐다. 수령은 800년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28.2m, 둘레 9.1m로 수형이 대단히 웅장하다.
강원 원주 문막읍 반계리 은행나무는 아름다운 자태로 소문났다. 높이 32m, 둘레 16.27m에 이르며 가지가 사방으로 넓게 퍼져 웅장한 느낌을 준다. 지난 1964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당시 수령이 800세 정도였으니, 올해 850세를 넘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11월 초순 정도까지는 아름다운 자태를 이어간다. 그래도 나뭇가지와 주변 땅 모두가 노랗게 물든 풍경과 마주하려면 11월 첫 주 이전에 찾는 게 좋다.
경북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도 용문사 은행나무처럼 늘씬한 자태가 매력이다. 높이 37m, 둘레는 14m다. 수령은 7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지난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용계리 은행나무는 임하댐 호반도로 변에 있다. 드라이브 삼아 찾기 딱 좋다. 다만 물가에 있어선지 다른 노거수들에 견줘 다소 일찍 물드는 편이다. 11월 첫 주를 넘기지 말길 권한다.
천연기념물은 아니지만 경주 서면 도리마을 은행나무 숲, 강동면 왕신리의 운곡서원 은행나무도 인기다. 도리마을의 경우 강원 홍천의 은행나무 숲처럼 부러 식재한 은행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10월 말의 풍경이 아름답다. 운곡서원 은행나무는 유난히 늦게 물든다. 11월 첫 주를 넘어야 농익은 모습을 선보일 듯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