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세자의 왕실 잔치 ‘연경당 진작례’, 새달 4~5일 창덕궁서 전 과정 복원 공연

효명세자의 왕실 잔치 ‘연경당 진작례’, 새달 4~5일 창덕궁서 전 과정 복원 공연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08-27 13:25
수정 2024-08-27 1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해 열린 연경당 진작례 장면. 국가유산청 제공
지난해 열린 연경당 진작례 장면. 국가유산청 제공


조선 순조(재위 1800~1843)의 아들 효명세자가 어머니를 위해 준비한 왕실 잔치가 재현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와 함께 다음 달 4~5일 이틀간 창덕궁 후원 연경당에서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 공연을 연다고 27일 밝혔다.

진작례는 신하들이 특별한 날에 임금에게 술과 음식을 올리고 예를 표하는 의식을 뜻한다.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는 1828년 효명세자(1809~1830)가 모친 순원왕후(1789~1857)의 40세 탄신을 축하하며 연경당에서 벌인 왕실 잔치다. 허영일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와 세계민족무용연구소가 ‘순조무자진작의궤’을 바탕으로 춤과 음악, 복식 등을 고증해 2006년 처음 공연했다.

10회를 맞은 올해 행사에선 효명세자의 초상화를 토대로 복원한 면복(冕服)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면복은 왕이나 왕세자가 중요한 의식이나 제사를 집행할 때 입은 가장 격식 있는 예복이다. 연경당에서 행해진 궁중정재 17종목 전 과정을 모두 복원한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다. 궁중정재는 왕과 왕족을 위한 전통무용과 음악 공연을 일컫는다. 창덕궁 후원 입장객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