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심사평] 청춘들의 고단함 형상화… 시조의 현대성 구현해 주기를

[2020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심사평] 청춘들의 고단함 형상화… 시조의 현대성 구현해 주기를

입력 2020-01-01 16:30
수정 2020-01-02 01: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근배·이송희

이미지 확대
심사위원 이근배(왼쪽)·이송희(오른쪽) 시조시인.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심사위원 이근배(왼쪽)·이송희(오른쪽) 시조시인.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시의 새로움은 같은 대상을 보아도 남들과 다르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서 태어난다. 시는 자신만의 시선을 지니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발화할 수 있는, 발상과 표현의 신선함이 중요하다. 정형의 양식인 시조의 경우는 특히 더 새로운 관점과 특별한 발화의 방식을 요구한다. 달리 말하면 ‘감각의 실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 관습이나 기존 형식을 답습하지 않고 넘어서는 것을 말한다. 익숙한 대상과 상황에서 새로움을 찾는 것, 어제와는 다른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이 시(시조)의 역할이고 의무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올해 만난 응모작들은 참으로 반갑게 다가왔다.

최종심에 오른 작품은 ‘가방’, ‘신新거석문화’, ‘둘이 사는 원룸’, ‘자작나무 설인’, ‘수요일 동백’ 등이다. 거듭된 논의 끝에 오정순씨의 ‘가방’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하루가 흔들리며 어깨를 짓누르”고 “때로 실밥 터지고 걸음 뒤뚱거”리며 “바닥을 탈탈 털어 잿빛 날들 고백”하고자 하는 오늘날 청춘들의 고단한 정서가 정제된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끼워 넣을 내가 많아 어제보다 무거워요”나 “한쪽으로 쏠리는 기울기를 읽지 못해”, “비구름 몰려 있는 귀퉁이 우산 한 개”와 같은 시적 화자의 진술이 돋보였다. 또한 “나, 라는 무게에서”, “나, 라는 이력서”, “나, 라는 햇살 목록”으로 연결되는 종장의 흐름은 작품에 균형감을 부여하는 의도적 장치로 읽혔다.

그러나 시대의 모순과 부조리를 담아내는 것만으로 시조의 역할이 완수되는 것은 아니다. 오랜 시간 시조라는 장르가 구축해 온 고유의 영역 위에 참신한 감각을 덧칠하고 소재의 확장을 지속해 가야 한다. 시조가 장르의 벽을 상쇄할 수 있는 잠재력은 여기에서 나온다. 긴장의 끈을 단단히 동여매고 시조의 현대성 구현을 위해 정진해 주기를 당부한다.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낙선자에겐 위로를 보내며, 시조 창작의 길에서 꼭 다시 만나길 바란다.



2020-01-02 4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