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폭력·문학인의 길’ 주제…식민지·분단 격변 속 족적 살펴
시인 윤동주·이기형·조향·최석두, 소설가 손소희, 시조 시인 박병순 등 1917년에 태어나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는 문인들의 문학세계를 되짚어 보는 축제가 열린다.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가 공동 개최하는 ‘2017년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다.윤동주 시인
대중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인 윤동주는 이 가운데 가장 무게 중심이 쏠리는 인물이다. 하지만 명성이 덜하다고 문학적 무게가 덜한 건 아니다. 박병순 시인은 최초의 시조 전문지 ‘신조’를 펴내며 한국 문학에 시조를 퍼뜨리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소설가 김동리의 둘째 부인으로 잘 알려진 소설가 손소희는 가부장적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수난, 내면의 변화 등을 영민하게 짚어나간 주요 작가로 꼽힌다. 몽양 여운형의 조카사위이자 비서였던 이기형 시인은 아흔이 넘어서까지 활발하게 작품을 내며 통일에 대한 염원을 문학에 실었던 문인으로 유명하다.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했던 조향 시인은 한국 시에 전위적인 정신과 형식을 불어넣은 초현실주의 시의 기수였다. 최석두 시인은 1949년 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했을 때 월북했다가 1951년 폭사하는 비운을 겪은 문인이다. 북한 초기 서정시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
기념문학제는 27일 오전 10시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세미나실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으로 문을 연다. 28일 오후 7시에는 연희문학창작촌 야외무대 열림에서 문인들의 작품 낭송과 공연, 초청 작가와의 대화 등으로 진행되는 문학의 밤이 펼쳐진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4-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