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8대 문학상에 관한 日 전문가 14명의 대담집 ‘문학상 수상을 축하합니다’
해마다 노벨 문학상 시즌만 되면 우리는 한국 작가의 수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국내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로 오르내리는 고은 시인의 자택 앞은 으레 기자들이 에워싼다. 문학상 수상은 그 나라 문학 수준이 높다는 인증일까. 문학상을 받았다고 무조건 훌륭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까.지난해 5월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한 한강(오른쪽) 작가.
런던 AFP 연합뉴스
런던 AFP 연합뉴스
2014년 독일의 일간지 디벨트에서 주관하는 벨트 문학상 수상자가 된 무라카미 하루키.
베를린 AFP 연합뉴스
베를린 AFP 연합뉴스
지난해 10월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호명돼 세계 문단을 놀라게 한 밥 딜런.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반면 영국이 프랑스의 공쿠르상에 대항해 만든 맨부커상과 지난해 5월 한강 작가의 수상으로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아진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은 수상작이 고르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세계 문학의 움직임을 보여 주는 문학상으로 호평을 받는다. 영문학자인 다케다 마사키 도쿄대 대학원 교수는 “상업적으로도 문학적으로 기능하고 있고 신인도 대가도, 중편도 장편도 다 받을 수 있는 문학상”이라고 의미를 부여한다.
도코 교수도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은 노벨 문학상에 정면으로 도전한다”며 “인권이라는 고전적인 가치관을 중시하는 노벨 문학상과 달리 순수하게 실력만을 고려하는 만큼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이 현재 활동하는 작가를 선택한다”고 평가한다.
맨부커상은 수상작들 간 통일성은 없지만 재미있는 작품들로 가려져 기대를 모으는 문학상이라는 게 대담자들의 중평이다.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다른 문학상과 차별화되는 작품 선정 조건들이다. 맨부커상 선정 위원은 문학 관련자들뿐만 아니라 정치인, 방송인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로 구성되고 매년 교체돼 수상작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한다. 또 대부분의 문학상 선정 위원들이 최종 후보작만 읽는 것과 대조적으로 맨부커 선정 위원들은 각각 100권이 넘는 후보작 전체를 읽고 수상작을 가려 뽑는다. 몇 달에 걸쳐 후보작을 추리고 이를 롱리스트(1차 후보작), 쇼트리스트(최종 후보작)로 발표하는 방식은 출판계에 활기를 불어넣는 영리한 홍보 이벤트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는 평이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7-0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