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모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5~6세기 금성면 대리리, 학미리, 탑리리에 걸쳐 조성된 374기의 대규모 고분군을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20일 밝혔다.
1960년 탑리리 고분군 발굴 이후 매장문화재 조사 17회, 학술조사 9회가 진행된 이곳에선 신라 무덤 양식인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돌무지덜넛무덤)를 변형한 묘제(墓制)가 확인됐다.
무덤 내부에서는 머리에 착용하는 관, 귀걸이, 허리띠 장식, 고리자루칼 등 신라 수도 경주와 관계를 보여주는 위세품(왕이 지방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고자 내리는 하사품)이 다양하게 발견됐다.
금귀고리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5~6세기 삼국 시대 의성지역을 포함한 경북 북부지역의 역사·문화와 신라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돼 왔다”면서 “고분 형성 시점을 분석하면 국읍(중심 읍락) 지배 계층 분묘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