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재건 기록 담은 ‘영건의궤’ 번역

창경궁 재건 기록 담은 ‘영건의궤’ 번역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3-15 22:34
업데이트 2020-03-16 0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고궁박물관은 고문헌 국역총서 여덟 번째 책으로, 1834년 태백산 사고본 ‘창경궁영건도감의궤’(昌慶宮營建都監儀軌) 번역본을 펴냈다. 조선 순조(재위 1800∼1834) 대에 화재로 소실된 창경궁 재건 과정을 상세히 기록한 책으로, 번역은 윤선영 국립고궁박물관 연구원이 담당했다.

창경궁은 성종 15년(1484)에 태종 상왕궁인 수강궁 터에 세워졌다. 임진왜란으로 전각이 불타 복구했으나, 1624년 이괄의 난으로 다시 화마를 겪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화재가 일어났다.

효명세자 예장(국가에서 예를 갖추어 장사하는 것) 기간 중이던 1830년 8월 1일에는 창경궁 환경전에서 불이 났다. 당시 환경전에는 대리청정하다 세상을 떠나 발인을 앞둔 효명세자 시신이 있었다. 불은 자경전을 제외한 내전 건물뿐 아니라 외전 영역에 있는 숭문당과 빈양문도 태웠다.

흉년이 들고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아 재건을 미루던 조정은 1833년 10월 창덕궁 희정당과 대조전도 화재 피해를 보자 곧바로 재건 공사를 시작했다. 창경궁영건도감의궤는 1834년 4월까지 이어진 창경궁 재건 공사 과정과 투입 인력, 자원을 담았다. 책 앞부분에는 통명전·경춘전·양화당·함인정 그림도 수록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3-16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