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년 전 한반도 조상들, 아하~ 이렇게 살았구나

1만년 전 한반도 조상들, 아하~ 이렇게 살았구나

김승훈 기자
입력 2015-10-19 22:48
업데이트 2015-10-20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 ’ 특별전

1만년 전 한반도의 신석기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까마득히 먼 옛 선조들의 삶과 당시 자연 환경을 오롯이 되살린 특별전이 열린다. 한반도의 신석기문화를 집중 조명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특별전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다’다.
이미지 확대
창녕 비봉리에서 출토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창녕 비봉리에서 출토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약 1만 8000년 전, 인류 등장 이래 지구의 기온이 가장 낮았다. 이후 기온이 차츰 상승해 신석기시대가 시작되는 약 1만년 전의 한반도는 오늘날과 비슷한 환경이 갖춰졌다. 김영나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신석기인들은 변화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는 생존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아내기 시작했다”며 “풍부해진 바다 자원과 식물 자원, 동물 자원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고 이를 바탕으로 점차 한곳에 정착해 생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3부로 구성됐다. 지구의 기온 상승에 따른 동식물 등 바뀐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신석기인들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료 474점이 마련됐다.
이미지 확대
삿대.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삿대.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1부에선 따뜻해진 기후로 인해 변화된 동물상과 식물상을 고찰할 수 있다. 구석기시대 한반도에 살았던 매머드를 비롯해 동굴곰, 쌍코뿔이, 하이에나의 뼈와 신석기시대 번성한 개와 물소의 뼈를 볼 수 있다. 제주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완형의 ‘고산리식 토기’도 만날 수 있다. ‘고산리식 토기’는 1만여년 전 만들어진 원시무문토기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토기다.

2부에선 신석기인들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개량하고 개발한 다양한 도구들을 살펴볼 수 있다. 풍부해진 어족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낚시, 작살, 그물 추, 빗창(조개 따는 도구), 고래뼈, 돌고래뼈 등을 접할 수 있다. 2005년 발굴 이후 10년간 보존처리를 마친 경남 창녕 비봉리 출토 나무배 실물이 처음 일반에 공개된다.
곡물이나 도토리 등 열매 껍질을 벗기거나 가는데 쓰였던 갈돌과 갈판.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곡물이나 도토리 등 열매 껍질을 벗기거나 가는데 쓰였던 갈돌과 갈판.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신석기 혁명’이라 불리는 식물 재배, 즉 농경과 관련된 자료도 준비됐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이뤄진 곡물재배 증거를 보여주는 조와 기장 흔적이 남은 토기, 도토리를 비롯한 견과류와 곡물의 껍질을 벗기고 가루를 내기 위한 갈판·갈돌, 저장용·조리용·식사용으로 사용됐던 토기 등이다.

3부는 다양한 자원 활용으로 풍족해진 생활을 배경으로 신석기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여러 무덤들을 모았다.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신석기시대 집단 묘지인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중국, 일본 등 세계 각지의 신석기시대 토기도 감상할 수 있다. 김 관장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격심한 환경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신석기인들의 모습을 흥미롭게 살펴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20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박물관 상설전시실 1층 특별전시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0-20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