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1~2개씩 먹다가 초기 당뇨 판정
![탕후루. 플리커(jonicong)](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22/SSC_20230822140657_O2.jpg)
플리커(jonicong)
![탕후루. 플리커(jonicong)](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22/SSC_20230822140657.jpg)
탕후루.
플리커(jonicong)
플리커(jonicong)
여성 유튜버 A씨는 최근 반년 동안 매일 탕후루 1~2개씩을 먹었고 빵과 떡볶이, 마라탕 등 탄수화물도 많이 섭취했다고 고백했다.
A씨는 “결국 두 달 전 초기 당뇨 판정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온라인커뮤니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02/SSC_20231002170839_O2.jpg)
![온라인커뮤니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02/SSC_20231002170839.jpg)
온라인커뮤니티
20대 당뇨·고혈압 치료 늘어
초등학생 ‘소아당뇨’도 증가실제로 지난해 20대 100명 가운데 1명은 당뇨나 고혈압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와 고혈압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지만 최근 5년 새 20대 청년층의 환자 수가 가장 많이 늘었다.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만성질환자 현황’ 자료를 공개하고 최근 5년간 80대 미만 연령대 중 20대에서 당뇨 및 고혈압 환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당뇨 환자 수는 4만 2657명으로 5년 전인 2018년(2만 8888명)에 비해 47.4%가 늘었다. 다음으로 당뇨 환자가 증가한 연령대는 60대로 31.1%가 증가했고 10대는 26.6%, 30대는 19%가 늘었다.
지난해 20대 고혈압 환자는 4만 2798명으로 2018년(3만 2831명)에 비해 30.2%가 늘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60대가 25.1%, 30대가 19.6% 순이었다.
청년층의 만성질환자 증가세는 최근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먹방’이 인기를 끌면서 마라탕과 탕후루 등 고열량 및 고당도 식품이 유행을 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마라탕을 먹고 후식으로 탕후루를 먹는다는 ‘마라탕후루’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서 의원은 “노인층의 질환으로만 여겨졌던 만성질환이 젊은 층에서 급속도로 환자가 늘고 있어 우려스럽다”며 “당뇨와 고혈압으로 인한 진료비만 한해 2조원이 넘는 상황에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 없도록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책임지고 젊은 층의 만성질환을 관리체계를 갖춰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라탕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7/24/SSC_20230724111216_O2.jpg)
![마라탕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7/24/SSC_20230724111216.jpg)
마라탕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탕후루 만드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02/SSC_20231002170841_O2.png)
유튜브
![탕후루 만드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02/SSC_20231002170841.png)
탕후루 만드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유튜브
유튜브
성장기 학생들에게 탕후루 건강 섭취는 건강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일을 먹더라도 꿀과 설탕을 곁들인 것보다 생과일 형태로 먹는 것이 좋고, 설탕보다는 칼슘이 많은 우유 등을 선택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