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자 관련 자료 이미지.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정자의 운동성이 높은 남성이 운동성이 낮은 남성에 비해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5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연구팀은 지난 50년간의 남성 7만 8000명의 추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자 운동성이 극도로 높은 남성이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2.7년 더 오래 살았다고 밝혔다.연구팀은 1965년부터 2015년 사이 코펜하겐 공공 정액 분석 실험실에서 불임 검사를 받은 7만 8284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대부분 부부 불임 문제로 인해 정자의 질을 평가받았으며, 수준은 ‘매우 우수’부터 ‘정자 전무’까지 다양하다.
정자의 질은 정자의 양, 농도, 운동성, 정상적인 모양을 가진 정자의 비율을 토대로 평가했다.
정자의 질에 따라 남성의 기대 수명을 분석한 결과, 운동성이 강하고 활발한 정자를 가진 남성이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2~3년 더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액 질이 낮을수록 기대 수명도 낮아졌다.
연구팀은 “절대적인 수치로 보면 운동성이 좋은 정자가 1억 2000만개 이상인 남성은 500만개 미만인 남성보다 평균 2.7년 더 오래 살았다”고 설명했다.
나이로 환산하면 정액 1㎖당 운동성 있는 정자 수가 500만개 미만인 남성의 수명은 최대 77.6년, 1억 2000만개를 초과한 남성의 수명은 최대 80.3년이었다.
연구팀은 “생식 능력과 수명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것은 중요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전문가들은 “활성산소가 만연할 때 발생하는 산화 스트레스가 정액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산화 스트레스는 체내에 활성산소가 너무 많고 항산화물질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데, 이 활성산소는 세포를 손상시키고 정자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 스트레스는 노화 과정에도 관여한다.
존 에이트켄 호주뉴캐슬대 환경 및 생명과학부의 명예교수는 “신체 내부에 활성산소가 많아지면 정자의 운동성을 떨어뜨리고 덩달아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한편 정액의 질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 중 최대 규모라 평가받는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인간생식’(Human Reproduction)에 게재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