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마시면 마음이 편안해진다고? ‘공황 발작’ 올 수도 있다

술 마시면 마음이 편안해진다고? ‘공황 발작’ 올 수도 있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5-03-09 08:00
수정 2025-03-09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술 마시면 ‘흥분 조절’ 신경전달물질 증가
알코올 의존도 높다면 오히려 반대 작용
“공황 병력 있다면 술로 마음 달래선 안 돼”

이미지 확대
음주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음주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답답하거나 우울할 때, 스트레스가 쌓일 때 기분을 풀기 위해 술을 마시곤 한다. 그러나 알코올이 오히려 긴장과 불안감을 높일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과거 불안 장애나 공황 증세를 겪은 사람의 경우 과음을 하지 않더라도 알코올이 극도의 불안감과 공포, 호흡 곤란, 마비 등을 동반한 ‘공황 발작’을 겪을 수 있으므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경고다.미 브라운 대학의 제니퍼 E. 메릴 행동 및 사회과학 부교수는 지난 5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불안에 취약한 사람들은 알코올이 순간의 불안을 완화하는 것처럼 느끼더라도 음주를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브래스카 대학의 알레나 발라사노바 정신과 부교수도 “와인 몇 잔이 공황 발작을 일으킬 것이라고 겁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술과 불안은 동면의 양면으로,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술과 불안은 동전의 양면…술 의존 말아야”NYT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알코올의 대사 과정에서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으며, 특히 잦은 빈도로 과음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더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술을 마셨을 때 긴장이 풀리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뇌에서 흥분을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BA)의 분비가 촉진되고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분비는 억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년 동안 과음을 한 탓에 알코올 의존도가 높아진 사람은 GABA의 작용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뇌는 이에 대응해 GABA의 분비는 억제하고 오히려 글루타메이트의 분비를 촉진한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의과대학의 캐슬린 브래디 정신과 교수는 “뇌가 과민 상태가 돼 공황 발작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과음을 하지 않고 평소 적절한 수준의 음주를 즐기는 사람이더라도, 과거에 공황 장애를 겪은 적이 있거나 불안 장애가 있는 경우 알코올로 인한 공황 발작을 겪을 수 있다고 발라사노바 교수는 덧붙였다. 음주가 탈수 증상이나 수면 부족을 초래하고 이는 불안감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발라사노바 교수는 “술에 의존해 불안감을 덜어내는 것은 장기적으로 더 많은 불안을 초래해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