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주변 사람과 어울리기만 해도 정말 고맙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제는 더 큰 꿈을 꾸고 있어요. 첼리스트로서 다른 장애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겁니다.”
김다빈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다빈씨
김다빈(24)씨의 어머니 유한숙(54)씨는 20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아들에 대한 대견함을 담아 말했다.
자폐성 장애 3등급인 김씨는 6살 때 어린이집에서 피아노를 배우며 음악을 알게 됐다. 유난히 첼로를 좋아했던 김씨는 중학교 2학년 때 첼로를 시작했다. 고등학교에 진학한 이후 발달장애청소년 오케스트라 ‘하트하트오케스트라’의 현악 앙상블 창단 멤버로 입단하면서 본격적으로 음대 입시를 준비했다. 가족은 물론 지휘자와 첼로 교사의 격려도 큰 힘이 됐다.
“당시만 해도 발달장애인 중에 현악 연주자는 거의 없었습니다. 현을 정확히 눌러 음정을 맞추는데 그게 힘들기 때문이에요. 하루에 7~8시간은 기본으로 연습을 했고, 부러뜨린 활도 셀 수 없죠.”
2012년 다빈씨는 삼육대 음대에 첼로 전공으로 합격했다. 매 학기 장학금도 받고 있다. 유씨는 “다빈이가 훌륭한 첼로 연주자로서 장애를 겪는 다른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 영감을 줄 수 있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7-02-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