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레이블 코로나 직격탄 “공연 취소로 35억원 손해”

중소 레이블 코로나 직격탄 “공연 취소로 35억원 손해”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0-03-25 16:59
업데이트 2020-03-25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레이블산업협회 “61개 공연 취소”
‘공연-앨범-공연’ 선순환 타격
“계약금·수수료 포함땐 더 커져”
지난 8일 휴일임에도 서울 홍대 ‘걷고 싶은 거리’가 한산한 모습. 연합뉴스
지난 8일 휴일임에도 서울 홍대 ‘걷고 싶은 거리’가 한산한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중음악 공연이 잇달아 연기 또는 취소되면서 규모가 작은 중소 레이블이 받는 타격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44개 중소 레이블과 유통사를 회원으로 둔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는 “회원사들이 지난 2월 1일부터 4월 11일까지 열기로 했던 행사 중 61개가 연기 또는 취소돼 35억원의 손해를 입었다”고 24일 밝혔다.

인디 뮤지션이 많이 활동하는 홍대 인근 소규모 공연장들에서 열릴 공연도 2월 1일부터 4월 17일까지 82개가 연기·취소돼 약 8억원의 손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대중음악 전체에서는 전국적으로 전국적으로 200여개 공연이 연기·취소된 것으로 추산됐다.

협회는 전체 티켓 중 80%가 판매됐다고 가정한 뒤, 관람 인원에 티켓 가격을 곱해 공연이 열렸을 경우 벌어들였을 티켓 수익을 계산했다. 여기에 공연장 대관과 무대 장비 업체 등에 지불한 각종 계약금, 환불 수수료 등을 더하면 규모는 더 커진다.

특히 대형 기획사에 비해 운영 규모가 작은 중소 레이블은 음반 제작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인디 뮤지션들은 음원보다 공연 수익 비중이 절대적인 경우가 많고, 공연을 통해 앨범 제작비를 마련한 뒤 다시 그 앨범으로 공연 무대에 오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코로나19 여파가 길게는 연말까지도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잡힌다 해도 공연을 즐기는 분위기가 돌아오려면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협회 측은 “코로나19 여파가 계속되는 상황인 만큼 대중음악계 피해 규모를 여러 각도로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