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일남서 박민규까지… 소설·소설가 100인을 말한다

최일남서 박민규까지… 소설·소설가 100인을 말한다

입력 2010-01-16 00:00
수정 2010-01-16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시대의… ’ 평론집 낸 김윤식 교수

시인 고은(77)의 시집은 헤아리기 어렵다. 시집, 에세이 등을 합쳐서 족히 150권을 넘겼지만 정확히는 본인조차 잘 모른다. 1960년 첫 시집 ‘피안감성’을 시작으로 50년 세월 동안 쉼없이 써내려 가며 이뤄놓은 작업이다.

이미지 확대
김윤식 교수
김윤식 교수
또 하나가 있다. 문학평론가 김윤식(74)이다. 국내 문단은 그의 평론집 등 저서를 숨가쁘게 꼽다가 결국 포기했다. 100권을 훌쩍 넘겼음을 그저 짐작할 뿐이다. 때로는 곳곳에서 진행했던 강의록을 풀어서 쓰기도 했고, 때로는 문예지 등에 기고했던 글을 묶어내기도 했다. 그렇다고 한국 문학 평단의 거목인 김윤식의 미덕이 방대한 저술량에 있는 것은 아니다. 그 핵심은 문학 현장과의 지칠 줄 모르는 소통과 교감을 가능하게 하는 성실함이다.

노() 비평가는 자신의 숱한 노작(勞作)에 또 한 권을 보탰다. ‘우리 시대의 소설가들’(강 펴냄)이다. 2007년 7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문예지에 발표된 소설들을 읽고 우리 시대 소설문학의 현주소를 가감없이 드러냈다.

그가 국내 문예지에 발표되는 모든 중·단편 소설을 읽는다는 사실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현장 비평을 통해 어느 누구보다 ‘지금 여기’에 충실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소설가 박완서는 “발로 뛰고 눈으로 더듬어 우리 문학의 지도를 만들었다. 훗날 후학들이 그가 그린 지도를 정정할 수 있을 테지만 이 최초의 지도를 전적으로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노 평론가의 업적을 높게 평가했다.

그는 이번에도 무려 100명의 작가들이 쓴 148편의 소설을 꼬박 읽었다. 그리고 때로는 그 절창에 공감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노 선배의 에두른 비판을 남기기도 했다.

박민규, 김연수, 김중혁, 김애란, 윤이형 등 젊은 작가들부터 신경숙, 구효서 등 중견작가들과 박완서, 최일남 등 원로작가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아우르고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제 막 문단에 발을 디딘 신춘문예 당선자들에게도 비평의 레이다망을 접지 않고 있는 점이다. 2008년 신춘문예 당선작과 2009년 신춘문예 당선작을 비교 분석하며 우리 문학의 현재적 징후, 미래적 전망까지 곁들이고 있다.

김윤식은 “그달 그달 발표된 작품을 읽기란 참으로 난감한 모험의 연속이었다. 새로 나온 작품들이 뿜어낸 뜨거움과 빛, 천둥소리에 귀먹고, 눈멀고 화상 입은 손발로 쓴 글이 나의 현장 비평”이라고 40년을 지침없이 계속해온 현장 비평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1-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