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치병’ 사랑 바이러스에 걸리자

‘불치병’ 사랑 바이러스에 걸리자

입력 2010-05-22 00:00
업데이트 2010-05-2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지민 새 장편소설 ‘청춘극한기’

변종 ‘사랑 바이러스’에 걸렸을 경우 남녀 간에 나눌 수 있는 대화의 일부다.

“젠장, 사랑합니다.”

이미지 확대
이지민 소설가
이지민 소설가
“미안해요. 괜히 앞에서 알짱거리다 사랑이나 받고.”

자칫 목숨을 위협할 수도 있는 위험한 바이러스이지만 완전한 치료는 불가능하다. 게다가 잠시 활동을 멈췄다가 간헐적으로 반복되는 잠복 감염의 증상을 보인다. 끝없이 사랑하는 바이러스에 걸린 삶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살아야 한다. 돌이켜보면 자신의 삶을 진심으로 사랑할 줄 아는 이들만 걸리는 바이러스 아닌가.

영화 ‘모던보이’의 원작 소설가 이지민(36)이 내놓은 새 장편소설 ‘청춘극한기’(자음과모음 펴냄)는 삶과 청춘을 사랑할 수 있는 바이러스를 안겨주는 작품이다.

백수 시나리오 작가 여인, ‘옥택선’이 실험실에서 과로와 박봉에 시달리던 젊은 연구원 ‘남수필’로부터 사랑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겪는 해프닝과 삶에 대한 사유, 성찰을 기록하고 있다. 옥택선은 사랑 바이러스의 백신 개발을 위해 기꺼이 실험용 쥐 신세가 되는 과정을 겪으며 늘 ‘루저’라고 생각했던 자신의 삶을 사랑하게 되고, 진짜 사랑의 가치와 의미를 찾아간다.

놀라운 것은 사랑에 빠졌거나, 사랑 바이러스에 걸린 이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들은 ‘마법의 시간’에 빠진 뒤 잊고 지내던 무의식 속 자신의 지난 과거를 하나씩 회상한다.

20년 전 헤어진 아빠를 떠올리고, 미숙하기만 했던 20세의 첫사랑을 기억나게 하고, 어릴 적 뛰놀던 동네를 생각나게 만든다. 이렇듯 자신을 객관화시키고 반추하게 하는 놀라운 능력을 선사하는 것이 사랑이다.

사랑의 대상은 꼭 이성만이 아니다. 메달을 따지 못한 국가대표 스케이트 선수는 스케이트 자체를 사랑하고, 지나간 아름다운 추억을 회상하는 할머니는 삶 자체와 사랑에 빠진다.

작가는 ‘청춘극한기’를 ‘생활 공상과학(SF)’이라고 불렀다. 과학문명의 발달을 통해 예견되는 디스토피아적 미래가 아닌, 즐겁고 유쾌한 미래를 뜻함이다.

이지민은 “가장 아름답고 찬란한 시절인 청춘의 시절을 현실에 저당 잡혀 불안과 두려움에 허덕인다.”면서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던 자신의 과거를 대면하는 순간, 찬란한 시절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5-22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