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칼랭】 이주희 옮김 문학동네 펴냄
올초 소설가 박범신은 이렇게 얘기한 적 있다. “요즘에는 한번 필명으로 작품을 써서 신춘문예나 문학상에 응모해 볼까 싶은 생각도 가끔 들곤 해, 로맹 가리처럼 말이야.”물론 박범신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최근 펴낸 장편소설 ‘은교’에서 소설가를 등장시켜 마음 속 욕망과 속물적 충동을 여과없이 폭발시키는 식으로 그 바람을 해소한다.
![로맹 가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6/25/SSI_20100625174238.jpg)
![로맹 가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6/25/SSI_20100625174238.jpg)
로맹 가리
로맹 가리가 60세가 되어 에밀 아자르라는 이름으로 처음 발표한 소설 ‘그로칼랭’(이주희 옮김, 문학동네 펴냄)이 번역 출간됐다. 1974년 발표 당시, 편집자는 원고의 높은 문학적 성취에 놀라 출간을 결정하면서도 그가 로맹 가리라는 것을, 당연히, 알지 못했기에 ‘감히’ 결말의 삭제를 요구했고, 로맹 가리는 편집자의 의견에 따랐다.
그 해 상업적 성공은 물론, 프랑스 4대 문학상 중 하나인 르노도상의 유력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사후에 공개된 원고에서 삭제된 결말이 출판되기를 원한다는 뜻을 남겼고, 결국 33년만인 2007년 프랑스에서 ‘결정판’으로 출간됐다. 그 결말이 국내에 소개되는 셈이다.
‘그로칼랭’은 ‘열렬한 포옹’이라는 뜻이다. 파리에 사는 서른일곱 살의 독신남 미셸 쿠쟁이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기르는 220㎝ 비단뱀의 이름이기도 하다. 조직과 인간의 관계 속에 편입되지 못한 채 고독함에 허우적대는 쿠쟁은 점점 비단뱀과 자신 사이의 정체성에서 혼란을 느낀다. 우스꽝스럽거나 부적절한 언어, 착란의 문장이 반복되는 이유다.
결말 역시 현대인의 허무함에 대해 토로하는 즈음에서 머무는 것이, 당시 편집자의 의도처럼 1974년 즈음에는 가장 대중적이었으리라. 하지만 당시 로맹 가리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생태학적 결말을 이끌어냈고, 결국 30년 넘은 뒤에야 빛을 보며 그가 시대를 앞서갔음을 확인시켜준다. 그러고보니 알 수 없는 일이다. 박범신, 또는 유명한 그 누군가도 아직 ‘공표’만 하지 않고 있을 뿐, 또 다른 필명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을는지. 로맹 가리처럼! 1만 3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6-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