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유쾌한 기억으로 덮다

죽음, 유쾌한 기억으로 덮다

입력 2010-09-11 00:00
수정 2010-09-11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중혁, 등단 10년만에 첫 장편소설 ‘좀비들’ 출간

“죽음을 대하는 태도는 저마다 다르죠. 가장 큰 고통은 아마 그 누군가를 실제로 볼 수 없다는 것이겠죠. 그런 일을 겪은 사람은 무슨 힘으로 살아갈까. 기억의 힘이 아닐까. 기억이 사람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든다고도 하는데, 만약 잊어버리게 된다면 더욱 슬프지 않을까요?”

“충격이란 말이죠, 받아들이는 쪽에서 마음만 먹으면 아무 일도 아닌 게 될 수 있는 겁니다. 우리는 새로운 물건을 발명한 게 아니라 충격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개발한 겁니다.”

윗글에서 충격 대신 그 자리에 ‘죽음’이란 단어를 넣어보면 어떨까. 죽음과 같은 최후의 충격도 받아들이는 쪽에서 마음만 먹으면 아무 일도 아닌 게 될 수 있을까. 소설을 읽을 때 수능 공부하듯 밑줄 쫙 그으며 읽을 필요는 없지만 소설가 김중혁(40)이 들고 온 첫 장편 소설 ‘좀비들’이 주는 위안은 이 대목에서 찾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등단 10년째를 맞아 첫 장편 소설을 낸 김중혁은 “이제서야 어떤 소설을 쓰고 싶은 지를 깨달았다.”고 했다. “저는 역사적 격변 같은 크게 뭔가 움직이는, 그런 이야기에는 관심이 없어요. 봄날 풀밭에 누워 있는데 바람이 코 끝을 살짝 건드린 것 같은 미세하고 작게 움직이는 세계를 쓰고 싶어요.”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등단 10년째를 맞아 첫 장편 소설을 낸 김중혁은 “이제서야 어떤 소설을 쓰고 싶은 지를 깨달았다.”고 했다. “저는 역사적 격변 같은 크게 뭔가 움직이는, 그런 이야기에는 관심이 없어요. 봄날 풀밭에 누워 있는데 바람이 코 끝을 살짝 건드린 것 같은 미세하고 작게 움직이는 세계를 쓰고 싶어요.”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죽음의 개인적 고민 풀고 싶었다

가족은 물론 집도 절도 없이 떠도는 주인공 채지훈이 형의 유일한 유품인 LP판을 듣기 위해 자동차 트렁크에 설치한 플레이어의 이름은 ‘허그 쇼크’. 충격을 방지해 음악이 튀지 않게 해주는 이 기계를 만들어 파는 업자의 설명은 소설이 죽음에 대해 견지하고 있는 분위기를 보여준다.

좀비 영화를 좋아하고 외국에 나가면 공동묘지를 둘러보기를 즐긴다는 그는 “‘죽음이란 뭘까’ 하는 개인적 고민을 풀어보고 싶었다.”고 했다.

‘펭귄뉴스’로 등단한 지 10년 만에 첫 장편이라니. 주제도 묵직하게 죽음이고, 제목도 거창해 음산한 장르 소설의 냄새를 풍기지만 여기까지다.

“사람을 피해 안테나 감식반 일을 선택”한 지훈은 ‘스톤 플라워’라는 록그룹의 음악을 매개로 뜻밖의 친구들을 사귄다. 도서관에서 일하는 뚱보130, 번역가 홍혜정과 만나 유사가족을 형성하게 되고 자연스레 고리오라는 이상한 마을로까지 흘러든다. 이곳에서 그와 친구들은 밤마다 출몰하는 좀비들, 아니 과거의 기억들과 사투를 벌인다.

“처음에는 살육이 벌어지고 하는 걸 구상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제가 그런 걸 잘 못하더라고요(웃음).” 소설 속의 좀비들은 그저 두 팔을 벌리고 다가오며 “우웨우웨”하는 이상한 소리를 낼 뿐 그닥 공포스럽지 않다.

그래서인지 등장 인물들의 태도는 여유작작이다. 문 밖에 좀비들이 득실거리는데도 음악을 크게 틀어놓고 “카페에서 세 시간째 수다를 떨고 있는 사람들이거나 들뜬 마음을 안고 몇 년 만에 작은 언덕으로 소풍을 나온 사람들”처럼 허튼 질문과 실없는 농담만 뱉어낸다. 어찌보면 심각한 상황인데 웃음이 기침처럼 터진다.

●소설 통해 비로소 나를 정리

죽은 자도 산자도 아닌 어정쩡한 존재인 좀비들은 끈질기게 달라붙는, 죽거나 떠나간 이에 대한 기억이다.

“죽음을 대하는 태도는 저마다 다르죠. 가장 큰 고통은 아마 그 누군가를 실제로 볼 수 없다는 것이겠죠. 그런 일을 겪은 사람은 무슨 힘으로 살아갈까. 기억의 힘이 아닐까. 기억이 사람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든다고도 하는데, 만약 잊어버리게 된다면 더욱 슬프지 않을까요?”

소설은 말한다. 공동묘지의 십자가는 누군가가 땅에 더해진 “더하기”일 뿐이라고, 누군가를 기억하는 한, 그 기억과 같이 가는 한, 우리는 슬프지 않다고.

좀비가 되어 지훈을 쫓게 된 뚱보130과 지훈이, 열광해 마지않던 ‘스톤 플라워’의 음악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함께 달려가는 마지막은 작가 자신이 “상상해낼 수 있는 최고의 해피엔딩”이다. 타인을 가족으로 맺어준 음악은, 그 음악에 대한 기억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무시하게 하며 여전히 살아갈 용기를 준다.

‘좀비들’을 머릿속에서 빼내기까지 꼬박 3년이 걸렸단다. 그는 첫 장편소설을 냈다는 기쁨보다 자기만의 스타일을 주눅들지 않고 나타낼 수 있게 됐다는 자신감에 물들어 있었다.

“옛날에는 좀 무서웠어요. 이렇게 써도 될까. 내가 나를 못 믿는 거죠. 이번 소설을 통해서 나 자신이 정리가 됐다는 느낌이 들어요. 아, 이제 뭘 써도 내 스타일로 풀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0-09-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