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언 일기장 묶어 첫 산문집 ‘불안의 황홀’ 펴내
친구집에 놀러갔다. 친구는 뭘 사러 잠깐 밖에 나갔다. 책꽂이를 들여다 보니 일기장이 꽂혀 있다. 읽지 않을 재간이 없다. 슬쩍 훔쳐 읽고 난 뒤 얼른 다시 꽂아 놓았다. 친구가 방에 왔다. 이미 짧지 않은 시간 친하게 지낸 이였건만 내가 알고 지냈던 그 녀석이었는지 혼란스럽다. 친구가 새롭게 보인다. 일기가 품고 있는 매력이자 마력이다.김도언씨
첫 산문집이 일기 묶음이라니…. 독자들의 관음증을 자극하려는 것일까. 그는 개인의 자잘한 일상과 함께 그 공간에서 부유하듯 교직하는 욕망과 불안의 실체를 노출시킨다. 그러나 무엇보다 작가로서 그를 확인시켜 주는 것들은 문학에 대한 애착 혹은 순정함이다. 기존의 작품 세계를 상회하는 고통과 고민이 이미 내재돼 있음을 보는 것은 고통스럽거나 기대감을 품게 한다.
‘나는 혐오하는 것들을 기억하기 위해, 잊지 않기 위해 소설을 쓴다. 거칠게 말하면 소설은 내게 ‘분노의 텍스트’이다.….’(2004년 11월12일 금요일)
‘소설을 읽으면서 삶에 대한 통찰을 기대하는 것은 난센스다.… 소설가는 삶에 대한 자신의 오해를 정당화하려고 소설을 쓴다.’(2006년 7월9일 일요일)
어쨌든 덕분에 마치 오랜 시간 곁에서 지켜본 사람처럼 김도언을 알게 된다.
소설가이자 출판사 편집자로서 두 삶을 살고 있다는 것, 평소에도 술을 즐겨 마시건만 시를 읽을 때는 더더욱 꼭 술을 마신다는 것, 시인 신동옥과 같은 집 아래위층에 살고 있다는 것, 소설을 쓸 때면 한꺼번에 두 세 작품, 심지어 장·단편 가리지 않고 대여섯 작품까지 동시에 쓴다는 것, 혹은 그가 소설 쓰는 김승옥·김훈·고종석 등을 좋아하거나 존경하고, 원종국·한차현 등과 매우 친하게 지낸다는 사실 등도 함께 알 수 있다.
그의 일기를 모두 훔쳐봤다면 문단에 있는 이들에게는 ‘딜레탕트’(예술이나 학문을 전문적으로 하지 않고 취미 삼아 하는 사람), 생활인들에게는 ‘위장취업자’ 혐의를 받는다는 김도언의 자의식은 위악에 가까운 것임을 알 수 있다. 지나칠 정도의 치열함과 견결함이 오히려 부담스러울 정도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9-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