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듬잇돌·양은 도시락… 정겹게 불러내다

다듬잇돌·양은 도시락… 정겹게 불러내다

입력 2010-10-30 00:00
업데이트 2010-10-30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옛 것에 대한 그리움】 김종태 지음 휘닉스 펴냄

예전 여인네들은 다듬이질을 하면서 이런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씨에미 마빡 뚝딱, 씨누이 마빡 뚝딱, 씨할미 마빡 뚝딱, 씨고모 마빡 뚝딱’. 모진 시집살이를 시키는 식구들의 이마를 연상하며 다듬이 방망이를 힘껏 내리쳤을 며느리들의 불경(?)스러우면서도 해학적인 노랫말이 미소를 머금게 한다.

친정아버지가 시집간 딸 집에 처음 갈 때 다듬잇돌을 메고 갔다는 얘기까지 있는 걸 보면 다듬이는 옷을 다듬는 본래 기능 못지 않게 며느리들의 스트레스 해소용 도구로 꽤 유용하게 활용됐던 것 같다. 전기 다리미가 들어오고, 합성섬유가 지천에 널리면서 다듬이는 우리 곁에서 사라졌다. 깊은 겨울밤, 머리맡에서 자장가 삼아 듣던 다듬이 소리도 아련한 향수로만 남았다.

이젠 민속박물관에나 가야 보고 들을 수 있는 게 어디 다듬이 소리뿐일까. 거뭇한 그을음을 남기며 한줄기 빛을 전해주던 호롱불, 울타리에 대롱대롱 매달려있던 조롱박, 한겨울 교실의 조개탄 난로 위에서 까맣게 타던 양은 도시락,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즐겨 신던 검정 고무신의 추억은 불과 반세기도 안 돼 역사속에 묻혀버렸다.

‘옛 것에 대한 그리움’(김종태 지음, 휘닉스 펴냄)은 빛의 속도로 빠르게 변모하는 도시의 삶에서 우리가 잊고 지냈던 이름들을 정겨운 목소리로 하나하나 불러낸다. 산업화와 현대화, 풍요로움과 편리함의 물결에 휩쓸려 속절없이 떠내려가야했던 전통문화와 전통놀이에 대한 기억을 환기시킨다. 1만 5000원.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0-30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