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승의 신작시집 ‘밥값’
따뜻한 감성과 절제된 시어로 많은 이들의 상처 받은 마음을 보듬어온 정호승(60) 시인의 신작 시집 ‘밥값’(창비 펴냄)이 출간됐다. 시인의 열 번째 시집으로 ‘포옹’ 이후 3년여 만에 나온 이번 시집에는 삶에 대한 성찰과 따뜻한 인간애가 녹아 있는 시 80여편이 실려 있다.정호승 시인
하루하루가 고비인 삶 속에서 인간다움이 사라져 가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시인은 불행하다고 느껴지는 상황 속에서도 절망보다 희망을 발견해 볼 것을 나지막하게 속삭인다. ‘나는 이미 충분히 불행하다/ 불행이라도 충분하므로/ 혹한의 겨울이 찾아오는 동안/ 많은 것을 잃었지만 모든 것을 잃지는 않았다//(중략)// 남의 불행에서 위로를 받았던 나의 불행이/ 이제 남의 불행에게 위로가 되는 시간’(‘충분한 불행’ 중)
또 ‘비록 지옥 말고는 아무데도/ 갈 데가 없다 할지라도/ 자살하지 마라/ 천사도 가끔 자살하는 이의 손을/ 놓쳐버릴 때가 있다’(‘별들은 울지 않는다’ 중)며 인생의 막다른 골목에 처했다고 느껴지는 힘겨운 순간에도 극단적인 선택보다는 희망의 끈을 놓치 말 것을 권유한다.
여러 편의 시를 통해 자신 또한 현실 속에서 한없이 나약하고 이기적인 존재라는 겸허함을 드러낸 시인은 이러한 반성을 토대로 서로가 양보하고 희생하며 한데 어우러져 사는 삶을 소망한다. ‘길을 떠날 때마다/ 다른 사람의 짐은 멀리 던져버려도/ 어느새 다른 사람의 짐이/ 내가 짊어지고 가는 짐의 절반 이상이다’(‘짐’ 중)
부끄럽고 미약한 존재이며 매일 힘겨운 일상에 치여 사는 평범한 이들에게 ‘인간다운 삶’이란 거창한 것이라기보다 각자가 자신이 처한 조건 속에서 자그마한 고민과 실천을 키워나가는 것으로 충분할지 모른다. 시인은 그 인간다운 삶의 길을 ‘밥값’하는 것이라고 소박하게 부른다.
‘어머니/ 아무래도 제가 지옥에 한번 다녀오겠습니다/ 아무리 멀어도/ 아침에 출근하듯이 갔다가/ 저녁에 퇴근하듯이 다녀오겠습니다//(중략)// 너무 염려하지는 마세요/ 지옥도 사람 사는 곳이겠지요/ 지금이라도 밥값을 하러 지옥에 가면/ 비로소 제가 인간이 될 수 있을 겁니다’(‘밥값’ 중)
그의 시에서 모두가 밥값하는 세상은 종교적인 성스러움, 자연의 경건함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시인은 “세상에는 가도 되는 길이 있고 안 가도 되는 길이 있지만 꼭 가야 하는 길이 있다. 나는 이제야 그 길이 시와 시인의 길임을 확신한다.”고 ‘시인의 말’에 적었다. 시인의 ‘밥값’에 대한 성실한 자기 고백이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0-11-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