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고달픈 인생살이에 보내는 위로… 사주 활용법

현대인의 고달픈 인생살이에 보내는 위로… 사주 활용법

입력 2012-01-07 00:00
업데이트 2012-01-07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람부는 날이면 나는 점보러 간다】 이지형 지음 예담 펴냄

51만 8400가지. 역술인이 말하는 운명의 가짓수다. 태어난 시점에 하늘과 땅을 채우던 오행의 기운이 한 사람에게 각인된 것을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한다. 연(年), 월(月), 일(日), 시(時)의 4개 기둥(柱)에 두 개씩 짝지워진 한자가 들어간다. 연과 일은 60갑자로 순환하고, 월과 시는 각각 12개씩이다. 결국 ‘60X12X60X12=’이면 답이 나온다. ‘사주’나 ‘점’을 본다고 하면 미신이라며 쯧쯧거리는 이들도 많다. 그런 이들도 신년 토정비결을 보거나, 신문의 정치·사회면은 건너 뛰어도 ‘오늘의 운세’는 챙겨본다.

심리 치유 에세이란 타이틀을 단 ‘바람 부는 날이면 나는 점보러 간다’(이지형 지음, 예담 펴냄)는 현대인을 위한 사주 활용법이다. 전업 역술인이 암호 해독에 가까운 주역 64괘를 설명하는 입문서였다면, 금세 책을 덮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대기업 부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이주하’라는 필명의 명리연구가로 이중생활을 한 저자가 사주를 대하는 방식은 좀 다르다. 사람들이 힘들고 괴로울 때 종교나 사랑에서 위로를 얻듯, 저자는 인생의 고달픔을 풀기 위해 동양철학에 관심을 가졌고, 점까지 치게 됐다.

사주에 대한 유연한 태도는 그 덕분일 터. “사주의 내러티브는 운명 자체라기보다 운명에 대한 암시이며, 운명에 대한 암시와 당사자의 피드백이 엮어 내는 드라마가 바로 삶”이라고 말한다. 정해진 운명은 있지만, 꿋꿋하게 살아남는 존재가 또한 인간이기 때문에 “사람은 운명보다 강하다.”고 강조한다.

실용적인 대목도 눈에 띈다. 사주에서 말하는 ‘백호대살’(호랑이한테 물려 죽는다는 뜻. 근래에는 교통사고 혹은 대낮에 강도를 당한다는 의미로 풀이), ‘원진살’(별 이유 없이 누군가와 원수가 된다) 등 일련의 ‘살’(煞)들에 귀 기울일 필요 없다고 단언한다. 사이비 역술인들이 부적을 팔아먹으려는 수작이기 쉽다는 이유다. 다만 역마살과 도화살은 현대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역술인들이 “올 10월만 넘겨라.”라든지 “내년 2월까지 기다려라.”라고 말하는 이유도 들려준다. 명리에서 6개월은 한 사람의 운명에 가시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최소 단위다. 예컨대 불(火)의 요소가 과도하게 많다면 불의 기운이 풍성한 여름에 일이 잘 풀릴 리가 없다. 차분히 관망하는 것이 우선이다. 계절이 바뀌고 물(水)의 기운이 풍성한 겨울을 맞게 되면 변환점이 생긴다. 결국 내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 아는 것만으로 마음이 평안해질 수 있다. 그 힌트를 사주에서 얻을 수 있다는 게 저자의 조언이다. 1만 2000원.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1-0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