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IS는 왜 그래?

도대체 IS는 왜 그래?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5-11-20 22:50
업데이트 2015-11-20 2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쟁전문기자 눈으로 본 IS의 실체

IS/하영식 지음/불어라바람아/304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이슬람 수니파 무장단체 IS(Islamic State)가 저지른 프랑스 파리 연쇄 테러로 세계가 시끄럽다. 이제 테러 하면 알카에다가 아니라 IS다. 이전 테러 집단보다 더 괴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대체 이들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분쟁전문기자인 저자는 2003년 발발한 이라크 전쟁과 2011년 시작한 시리아 내전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분석한다.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촉발시킨 이라크 전쟁은 수니파 소수 정권인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렸고, 수니파 잔당들은 지하드 전사로 재무장하며 혼돈의 씨앗을 뿌렸다. 알카에다는 이러한 수니파를 중심으로 이라크 알카에다를 조직했다. IS의 출발점이다. 2010년 즈음엔 대부분의 지하드 분자들이 섬멸돼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이때 서방 세계의 결정적인 실책이 있었다. 시리아에서 민주화 시위가 거세지며 국경 통제력이 상실되자 수니파 지하드 분자들이 시리아로 넘어가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민주화 시위를 탄압한 아사드 정권과 맞서는 쪽에 지원된 미국과 유럽의 막대한 자금과 무기가 결국 IS로 흘러간 것이라고 저자는 추정한다. IS의 발호에 거름을 준 것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합리적인 무슬림으로 분류되는 쿠르드 민족, 특히 민족 전통 종교인 예디즈교를 믿는 쿠르드인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IS를 접하게 됐다. 때문에 책은 쿠르드 민족과 이슬람 문화에 대한 설명에도 상당 부분을 할애한다. 저자는 “IS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것과 더불어 경계심을 일깨워주기 위해 이 책을 썼다”며 “IS의 사상과 실천은 반인륜적인 극단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IS는 하루빨리 없어져야 할 괴물이지만 사우디나 터키라는 중동의 대국들이 뒤에서 지원하는 한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5-11-21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