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투명한 출판유통 시스템 진짜 베스트셀러의 탄생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투명한 출판유통 시스템 진짜 베스트셀러의 탄생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2-28 17:34
수정 2019-03-01 0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지난 27일 서울 종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올해 진행할 사업에 관한 설명회를 열었습니다. 사업 가운데 유독 ‘출판유통통합시스템’이 눈에 띕니다. 전체 400억원 규모의 첫 단계로 오는 7월 말까지 서점의 단말기 등에 도입할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고 합니다. 출판유통통합 시스템은 도서 판매량과 재고, 신간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총칭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이미 구축해 운영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이 유사한 사례입니다.

현재 출판 유통 시스템으론 출판사에서 출간한 책이 몇 권이나 팔렸는지, 어디에 얼마나 재고가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출판사와 도매상 간 대금 결제도 주먹구구식이었습니다. 출판사에서 도매상에 책을 넘긴 이후 추적이 안 돼 도매상과 어림잡아 돈을 주고받고, 그러다 나중에 재고가 돌아오면 말썽을 빚기도 했습니다. 연매출 600억원대의 국내 2위 서적도매업체인 송인서적 부도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지역서점과 출판도매상, 출판사가 서점에 어떤 책이 얼마나 팔렸는지 등을 확인하고 공유하는 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은 채 대금을 주고받다 결국 만기가 돌아온 600억원대 어음을 막지 못해 2017년 부도를 낸 바 있습니다.

새 시스템이 정착하면 달라집니다. 분산된 유통, 판매 전반 정보가 투명해집니다. 운영이나 관리의 효율성 역시 높아집니다. 무엇보다 도서 판매 통계 자료가 제대로 집계되면서 진짜 ‘베스트셀러’도 드러납니다. 지금은 서점마다 저마다 베스트셀러를 내는데, 서점마다 차이가 제법 큽니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출판정책 수립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와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런 시스템을 마련해 운영 중입니다. 송인서적 부도 사태가 터진 후에야 시작한 우리로선 다소 늦은 감마저 있습니다.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출판사와 도매상, 서점 등이 이 시스템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일이 남았습니다. 갈 길은 멀지만, 잘될 것이란 기대가 큽니다.

gjkim@seoul.co.kr

2019-03-01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