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는 사회적 가치 보여줘”… 詩가 된 33개국 돈

“화폐는 사회적 가치 보여줘”… 詩가 된 33개국 돈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11-10 22:46
업데이트 2019-11-11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정욱 한은 국장 ‘화폐 제국…’ 출간

화폐 도안에 그 나라 역사·자부심 담겨
대만은 미래·폴란드는 과거에 초점
현금, 부자·빈자 포용하는 결제수단
이미지 확대
이정욱 한국은행 발권국장
이정욱 한국은행 발권국장
“화폐는 그 사회의 사회적 가치의 정수를 보여 주죠.”

중앙은행의 발권국은 화폐의 탄생부터 죽음을 지켜본다. 우리나라 발권국 수장인 이정욱(53) 한국은행 발권국장이 지난 9월 말 시집 ‘화폐 제국의 숨결’을 펴냈다. 33개국의 화폐 도안에 담긴 각 나라의 자부심과 역사를 시로 풀어내고 설명하는 줄글을 더했다.

10일 서울 강남구 한국은행 강남본부에서 만난 이 국장은 스스로를 ‘시인이 아니라 논문을 쓰는 경제학자’라고 소개한다. 책 곳곳에도 한은 분위기가 녹아 있다. 이 국장은 “중앙은행의 뱅커로서 도의와 매너로 가급적 좋은 부분을 찾으려 노력했다”면서 “화폐 도안을 보면 과거 역사가 슬픈 대만은 주로 미래를 얘기하고, 역사가 화려한 폴란드는 과거에 초점을 맞춘다”고 설명했다. 가장 애정을 담은 시는 캐나다 달러를 다룬 ‘포용의 갈래’다. 그는 “캐나다 달러는 화폐 도안의 예술성은 물론 기능적 품질 면에서도 단연 최고”라면서 “이민족과 다른 약자에 대한 포용을 지향하고 단풍잎의 갈래갈래는 서로 다른 문화와 민족의 공생과 공존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글 쓰기가 익숙하지는 않았다. 그는 “강원 화천 최전방에서 근무할 때 고참들이 연애편지를 대신 써 주면 눈을 치우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며 사심으로 출발한 글 쓰기에 웃음을 터뜨렸다. 자녀를 따라갔던 일산 호수 예술제에서 성인부문 우수상을 탄 뒤 간간이 짬을 내 쓴 시들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세 번째 책이다. 2002년 처음 집필한 ‘돈을 다루는 사람의 돈 이야기’는 둘째 형님의 권유로 대중적 눈높이에서 화폐를 소개했다. 둘째 형은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 ‘나무’ 등을 한국에 소개한 이세욱 번역가다.

‘현금 없는 사회’는 올까. 그는 “현금은 부자든 가난한 사람이든 모두를 포용하는 결제 수단이기 때문에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면 거래가 없어지면 현금 사용 기회도 줄고 일자리도 준다”면서 “적어도 한 곳은 현금 계산을 할 수 있는 직원을 두는 게 포용과 배려”라고 강조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11-11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