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중인·향리 후손은 어떻게 엘리트가 됐을까

중인·향리 후손은 어떻게 엘리트가 됐을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07-14 17:48
업데이트 2022-07-15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출생을 넘어서

황경문 지음/백광열 옮김
너머북스/584쪽/3만 2000원

평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양반도 아닌 중인, 향리, 서얼, 무반, 서북인 등 조선시대 제2 신분집단을 연구한 책이다. 한 권의 족보를 그리듯 근대 한국의 인맥을 낱낱이 살폈다. 저자가 주로 들여다본 건 이 집단의 후손들이 현대 한국의 출현에 미친 영향이다. 제2 신분집단 후손들의 지위 상승은 거의 전적으로 출신에 좌우됐던 조선의 신분 사회에서 벗어나 교육과 부 등 다양한 요인이 지위를 결정하는 근대 한국으로의 전환을 보여 준 획기적인 현상이었다. 현 한국 사회 역시 선진국으로의 전환기를 맞고 있다. 또 다른 특권과 기회 불평등이 안착할 토양 위에 선 셈이다. 이 같은 과거를 살펴 현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자는 것이 저자의 의도다.

대부분의 중인들에겐 특성이 있다. 바로 부(富)다. 유명한 역관과 의원, 화원 등 중인들에겐 믿기 어려울 만큼의 부가 있었다. 조선시대 때는 위계의 척도였던 관직에 접근하기 위해 부를 활용하기 어려웠지만 20세기 초엔 훨씬 용이해졌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중인 관료들은 정부 상층의 신진 세력으로 격상됐다. 왕실 묘자리 지관을 아버지로 둔 육당 최남선처럼 제2 신분집단의 후손들은 부유하고 인맥도 풍부한 선대의 도움 아래 최고의 교육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었다.

향리 이야기도 풍성하다. 호장, 이방 등 전국의 향리들은 토지 소유를 통해 부를 축적했다. 경북 예천의 경우 20세기 초 4개 대지주 가문이 모두 향리 가계였다. 향리 후손들은 선조의 부를 활용해 신학문에 힘을 쏟았다. 한글학자 최현배는 울산 호장의 아들이었고, 이상정·상백·상화 등 대구의 삼형제도 향리 가문 출신이었다.

동북부 변방 출신의 조선 태조 이성계가 유독 평안도, 함경도 등 서북 출신들을 배척한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니 문벌을 중시한 조선의 양반들이 서북인들과 교유하지 않은 건 당연했다. 서북 지방에 양반 계급이 드문 이유다.

하지만 이동휘, 안창호, 조만식, 박은식, 김구, 이승만 등 20세기 전반 한국의 명사 인명록은 서북 출신을 빼고 작성할 수 없을 정도다.

손원천 기자
2022-07-15 1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