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 감독 ‘인생은 순간이다’ 출간
야구에서 배운 인생과 리더십 이야기
![‘최강야구’의 최강몬스터즈를 이끄는 국내 최고령 야구 감독인 김성근 감독이 선수의 훈련을 돕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17/SSC_20231217100427_O2.jpg)
![‘최강야구’의 최강몬스터즈를 이끄는 국내 최고령 야구 감독인 김성근 감독이 선수의 훈련을 돕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17/SSC_20231217100427.jpg)
‘최강야구’의 최강몬스터즈를 이끄는 국내 최고령 야구 감독인 김성근 감독이 선수의 훈련을 돕고 있다.
“실패에 붙잡혀 있든, 성공에 도취해 있든 과거에 매여 있는 것만큼 미련한 짓이 없다.”
“리더라면 사람을 쉽게 포기해서는 안 된다. 현실이 어떻든 간에 리더가 먼저 포기하면 안 된다.”
이런 주옥같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누굴까. 선수 생활은 짧아 스포트라이트를 받지는 못했지만, 지도자로 그 누구보다 주목받았던 한국 최장수 야구 감독인 김성근이다. 김 감독은 현재 한 종편의 스포츠 예능 ‘최강야구’에서 최강몬스터즈를 지휘하고 있다. 예능 프로그램의 야구팀 감독도 감독이냐고 말하는 이들도 있지만 김 감독은 프로팀 감독 때만큼 진지하다.
김 감독은 60년 가까이 야구 지도자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생각들을 정리한 ‘인생은 순간이다’(다산북스)라는 책을 최근 냈다.
그는 최강야구 감독직을 수락한 것과 이 책을 낸 이유에 대해 “야구라는 것으로 인생을 전하고 싶었다”라면서 “단순히 이기고 지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이 세상에 절망은 없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김 감독은 오랫동안 코치와 감독을 맡으면서 체득한 삶의 자세와 리더의 역할에 대해서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그는 나이가 들수록 물음표를 갖고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세상이 변했다고 혀를 차며 한탄할 것이 아니라 계속 나 스스로가 세상의 흐름 속에 있으면서 세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체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김 감독은 “나는 아직도 야구를 공부하고 책도 무수하게 읽는 학생”이라며 “지금 야구는 10년 전, 5년 전, 심지어 3년 전 야구와도 다르기 때문에 계속 공부할 수밖에 없고, 새로운 흐름에 계속 나를 던진다”라고 말한다.
리더의 자세를 이야기하면서 김 감독은 요즘 조직들이 사람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점을 개탄했다. 무언가에 통달하는 과정을 등산이라고 본다면 리더는 정상에 있고 아랫사람들은 등산길의 중간이나 시작점에 있기 때문에, 리더는 아랫사람들이 잘 따라올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지만 요즘 리더나 조직은 처음부터 기준선을 정해놓고 못 미치는 사람을 글렀다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못된 것이라는 말이다.
김 감독은 “야구뿐만 아니라 정치고 조직이고 요새는 모두 사람을 살리는 게 아니라 버리는 조직이 돼버렸다”라며 “제대로 프로세스를 배우지도 못한 조직원을 세상에 내보내고는 성과가 낮거나 기대했던 만큼 못 하면 쓸모없다고 쉽게 버리고 더 나은 인재를 찾는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리더의 사명감이란 것을 잊고 살면서 리더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라고 꼬집었다.
![인생은 순간이다 (다산북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17/SSC_20231217100429_O2.jpg)
![인생은 순간이다 (다산북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17/SSC_20231217100429.jpg)
인생은 순간이다 (다산북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