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책 한 권에 인생을 걸었다고?

희귀 책 한 권에 인생을 걸었다고?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12-22 01:42
수정 2023-12-22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책 사냥꾼의 도서관/앤드루 랭·오스틴 돕슨 지음/지여울 옮김/글항아리/272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프랑스 작가 세레쿠르는 상당한 애서가였다고 한다. 하루는 그의 친구 라크루아가 책을 한 권 빌려 달라고 했는데, 세레쿠르는 라크루아를 자신의 도서실로 데려가더니 문 위를 가리켰다. 거기엔 이렇게 쓰여 있었다. “누군가 빌려 간 책의 운명은 슬프도다. 늘 망가지는 것은 물론 분실되는 일도 부지기수라네.”

고작 책 좀 빌려 가는 걸 가지고 너무 쩨쩨하게 구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 법하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애서가들에겐 남에게 책 빌려 주는 일이 그리 달갑진 않을 터다.

고대 철학자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책이 귀했던 시대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각종 미디어가 발달한 지금과 달리 책은 지식이 담긴 물건을 넘어서는 미적 취미의 극한이었다.

헌책방에서 우연히 루소의 저작을 발견한 책 수집가는 루소가 남긴 꽃잎을 책 속에서 발견하고 지극한 즐거움을 느꼈다. 자신이 원하던 귀중한 기도서를 찾으러 500㎞를 한달음에 달려간 수집가도 있었다. 한 학자는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한 도시의 책을 폭풍처럼 휩쓸어 버리기도 했다.

어디 그뿐인가. 스페인 성직자 돈 빈센테는 어느 날 책 경매에 참여했다가 희귀한 책을 놓친 뒤 분에 못 이겨 낙찰받은 이의 집에 불을 지르고 애서가들을 여럿 죽였다. 이 끔찍한 범죄의 전말은 그의 상점에서 1482년에 출간된 ‘발렌시아의 칙령과 조례’가 발견되면서 들통났다. 그가 경매에서 놓친 그 책이었다.

제목에 나오는 ‘책 사냥꾼’은 애서가들을 가리킨다. 매일 중고 서점가를 어슬렁거리며 희귀한 책을 사냥하듯 낚으러 다녔는데 이들의 꿈은 공통으로 ‘자신만의 도서관’을 만드는 일이었다.

호메로스, 단테, 밀턴, 셰익스피어, 소포클레스 등 익숙한 애서가들도 등장하지만 1881년 발간한 책이다 보니 우리가 잘 모르는 이들이 많다. 이름을 처음 들어 본 책도 다수다. 그럼에도 책을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애서가들의 탐험에 기꺼이 동참할 수 있을 듯하다.
2023-12-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