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해 애정결핍에 시달리다 알코올중독에 빠지고, 몸매 관리에 과몰입하다가 마약중독에 빠져 벗어나지 못한다. 흥분과 쾌락을 주는 도파민에 중독된 여성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중독된 그녀들-탐닉의 늪에서 탈주하기’는 현대인들이 어떤 맥락에서 중독자로 내몰리게 되는지에 주목한다.
사회복지 교육과 연구에 몸담아온 저자(임해영·최미경·강선경)들은 중독자들이 처한 사회문화적·구조적인 환경과 맥락을 통해 중독의 과정을 밀도 있게 풀어낸다.
‘1부 중독에 빠지는 그녀들’에서는 불안감을 떨쳐버리기 위해 우리 몸이 중독을 향해 어떻게 달려가는지를 설명한다. ‘2부 중독된 여성들을 주목해야 할 이유’에서는 중독을 조장하는 불확실성의 사회에 주목한다.‘3부 중독된 여성들의 초상’과 ‘4부 회복을 향해 나아가기’에서는 중독의 늪으로 빠져들게 된 경로, 이후 중독의 삶, 이후 이런 늪에서 빠져나오는 과정, 사회적 성찰 등을 이야기한다. 강수돌 고려대 융합경영학부 명예교수는 “불안감의 노예가 되어 중독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다가 마침내 회복의 길로 들어선 네 명의 여성들의 이야기를 잔잔하게 전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