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7개 단체들이 31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 일주문 앞에서 ‘8·14 봉은사 승려 특수집단폭행 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8·14 봉은사 승려 특수집단폭행 대책위 제공
대책위는 31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집단 폭행사건이 발생한 지 2주가 지났음에도, 폭행에 가담한 승려 1명만 참회문을 남기고 지방으로 내려갔을 뿐 봉은사 주지와 조계종단은 어떠한 조치도, 책임도 지지 않고 침묵하고 있다”면서 “경찰 또한 폭행 가해자를 연행 후 바로 풀어주는 등 조사와 처벌 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갖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우리 불자들은 폭력으로 불살생의 계를 파하고, 승가의 위의(威儀)를 훼손하며 한국불교의 비폭력, 평화의 이미지와 사회적 신뢰를 땅에 떨어뜨린 폭행 가해 승려들에 대해 종헌 종법에 따라 신속한 조사와 일벌백계를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봉은사는 조계종 총무원의 직영사찰”이라며 “사회적 물의에 대한 책임을 지고 조계종 총무원은 대국민, 대불자 참회를 해야 할 것이며,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4일 서울 서초구 봉은사 앞에서 자승 전 총무원장 측의 조계종 총무원장 선거 개입 등을 비판하는 1인 시위를 준비하던 조계종 노조원에게 한 승려(왼쪽 두 번째)가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 조계종 노조 제공 영상 캡처
논란이 커지자 폭행 당사자인 지오 스님은 “그릇된 행동에 거듭해 참회 드린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꼬리 자르기란 비판이 뒤따랐다.
대책위는 이날 집단 폭행에 가담한 승려가 소속된 봉은사 주지를 향해서도 거취 표명과 종단의 조치를 요구했다. 회견을 마친 후엔 서울 강남경찰서를 방문해 경찰의 신속한 조사를 촉구하는 항의서한을 민원실에 전달했다. 박 전 부장은 이날 강남경찰서에 출석해 피해자 조사를 받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